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왈런드 효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왈런드 효과(Wahlund effect)는 이주 집단이 토착 집단에 합류하였을 때 두 구성원들의 평균 대립유전자 빈도는 실제 병합집단의 빈도로부터 예상되는 이형접합자 빈도보다 감소된 빈도를 보인다는 것이다.

정의

이주집단이 토착집단에 처음으로 합류했을 때 유전적으로 혼합되기 전에는 비록 각각이 하디-와인버그 비율을 하고 있어도 병합집단에서는 하디-와인버그 평형이 교란된다. 두 구성원집단의 평균 대립유전자 빈도인 병합집단의 빈도로부터 예상되는 이형접합자 빈도보다 감소된 빈도를 보인다. 이 효과를 왈런드 효과(Wahlund effect)라 한다.

원인

이형접합자의 상대적 비율이 중간값의 대립유전자 빈도에서 증가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 대립유전자의 빈도가 0.5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짐에 따라 이형접합자의 상대적 비율이 감소한다.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