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왕씨삼세충효정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왕씨삼세충효정려
Remove ads

왕씨삼세충효정려대한민국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에 있다. 2007년 12월 12일 구례군의 향토문화유산 제16호로 지정되었다.

간략 정보 종목, 위치 ...
Remove ads

개요

왕득인(王得仁)은 1556(명종 11)∼1597(선조 30) 정유재란 때 왜장 시마쓰(島津義弘) 등이 구례에 침입하여 읍이 함락되자 300여명의 의병을 모집하여 석주관(石柱關)에서 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여 큰 타격을 입혔으나 왜군과의 교전 중에 전사하였다. 1804년(순조 4)에 조봉대부(朝奉大夫)·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을 증직 받았고, 1813년에는 정려(旌閭)가 세워졌다.

왕의성(王義成)은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거의(擧義)하고, 아버지 왕득인과 함께 석주성(石柱城)에서 성을 지켰으며 병자호란 때 다시 의병을 일으켜 북상했으나 조정이 청나라에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고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1812년(순조 12)에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 겸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 행통훈대부(行通訓大夫) 예빈시주부(禮賓寺主簿)에 증직되었다.

왕지익(王之翼)은 1683(숙종 9년)~1727(영조3년) 부모님이 노환(老患)으로 의식을 차리지 못했을 때에 단지(斷指)를 하여 3일간 더 연명케 했으며 돌아가신 후에는 3년간시묘살이를 하였다. 1812년(순조 12)에 조봉대부(朝奉大夫) 호조좌랑(戶曹佐郞)에 증직되었다.

Remove ads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