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용산구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용산구의 행정 구역은 16개의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면적은 21.87km3이다. 용산구의 인구는 2018년 2분기를 기준으로 108,516 세대, 245,245명이다.

행정 구역

Thumb
자세한 정보 행정동, 한자 ...
Remove ads

개요

Thumb
자세한 정보 행정동, 법정동 ...
Remove ads

역사

고려 말 과주(果州, 과천군)에 속했던 곳으로 한양부로 불리었다. 조선 초에는 한성부에 속했으며, 조선 말에는 용산방 지역이 되었다. 1896년 한성부 용산방으로 시작하여 1910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한성부경성부로 개칭되면서, 경기도에 편입되었다. 1911년 용산방이 용산면이 되었다. 1914년 고양군 용강면 여율리→영등포출장소 이속, 경성부 용산출장소(치소-신계동, 청엽정1~3정목, 원정1~4정목, 금정, 미생정, 경정, 대도정, 영정, 청수정, 산수정, 암근정, 도화정, 강기정, 삼판통, 한강통, 마포동, 이촌동), 용산면의 일부는 고양군 용강면으로 개편되었다.

  • 1943년 6월 10일 : 구제 실시에 따라 경기도 경성부 용산구가 설치되었다. 이때의 행정구역은 삼판통, 용산정2정목(龍山町2丁目), 용산정4정목, 연병정, 강기정(岡崎町), 경정, 서빙고정(西氷庫町), 용산정1정목~5정목이다.[1]
  • 1944년 11월 1일 : 새로 설치된 마포구로 도화정 등이 편입되었다.[2]

1943년-용산출장소를 용산구역소로 개칭, 1945년-용산구역소를 용산구로 개칭,

자세한 정보 개편 전, 개편 후 ...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