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엘타닌
용자리에 있는 항성이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엘타닌[8] 또는 용자리 감마(γ Dra)는 천구 북반구의 용자리 방향에 있는 거성이다.
Remove ads
관측
엘타닌에는 바이어 명명법으로 '감마'(γ, 세 번째로 밝다는 뜻이다.)가 부여되었으나 실제로 이 별은 2.4 등급으로 용자리에서 가장 밝다.[1] 예를 들면 라스타반(용자리 베타별)보다 거의 0.5 등급 더 밝다. 150 만 년 내로 엘타닌은 지구로부터 28 광년 안쪽까지 가까워질 것이다. 만약 엘타닌의 밝기가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이 때 밤하늘에서 엘타닌은 지금의 시리우스 밝기와 거의 비슷하게 보일 것이다.[9] 히파르코스 측성 위성이 입수한 시차 자료에 따르면 이 별은 지구로부터 154.3 광년(47.3 파섹) 떨어져 있다.[1][10][11] 엘타닌에 동반천체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데, 만약 존재한다면 두 별은 약 1000 천문단위 떨어져 있을 것이다. 광도로 미루어보아 이 동반천체는 적색왜성일 것이다.[12]
1728년 제임스 브래들리는 엘타닌의 시차를 측정하는 데 실패했는데 이 과정에서 지구가 움직이면서 광행차가 발생하는 것을 발견했다. 브래들리의 이 발견으로 지구가 태양을 돈다는 코페르니쿠스의 주장이 검증되었다.[9]
Remove ads
물리적 특성
엘타닌은 분광형 K5 III으로 항성진화가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 있다.[5] 1943년 이래 이 별의 분광형은 다른 항성을 분류하는 안정적인 기준점 역할을 해왔다.[13] 질량은 태양보다 72% 더 크고[6] 반지름은 태양의 48 배까지 부풀어 있다.[3] 광도는 태양의 약 471 배이며[3] 바깥쪽 대기의 유효온도는 3930 켈빈이다.[3] 이는 태양보다 차가운 값으로 이 온도에서 항성은 K형 별의 색채인 오렌지색으로 빛난다.[14]
명명법
용자리 감마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붙인 이름이다.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이름 엘타닌(또는 에타닌)[9][15]은 아랍어 단어 التنين ('아트-틴닌')에서 왔으며 그 뜻은 '큰 뱀'이다. 예전에는 '라스타반' 이름으로도 불렸으며 두 고유명칭은 '뱀' 또는 '용'을 뜻하는 아랍어 어원을 공유한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고유명칭을 목록화, 표준화할 목적으로 산하에 항성명칭심의위원회(WGSN)를 조직했다.[16] 2016년 7월 위원회가 고시한 항성목록에 엘타닌이 포함되어 IAU 항성명칭표에 공식 등재되었다.[8]
과거 엘타닌, 용자리 베타(라스타반), 뮤(에라키스), 누(쿠마), 크시(그루미움)는 '알 아와이드'(어미 낙타들, 훗날 Quinque Dromedarii 로 불린다.) 별자리의 구성원이었다.[17]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엘타닌은 자미원에서 천봉(天棓)에 속해 있다. 천봉의 구성원은 엘타닌, 용자리 크시, 누, 베타, 허큘리스자리 이오타이다.[18] 이 중 엘타닌을 단독으로 부르는 명칭은 천봉사(天棓四, 천봉에서 네 번째 별)이다.[19]
이름 차용 사례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