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우륵의 8곡 사자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사자기(師子伎)는 악사(樂師) 성열현(省熱縣) 사람 우륵(于勒)의 12곡 가운데 제8곡명으로 유희적인 사자탈춤과 관련한 향가이다.
사자기(師子伎) 곡명의 원전사료
사자기(師子伎) 곡명의 지명설
사자기(師子伎) 곡명과 관련한 산예(狻猊)
- 사자기(師子伎)는 음력 정월 보름날 사자탈을 쓰고 하는 민속놀이의 하나. 두 사람이 나무로 만든 사자탈을 뒤집어쓰고, 마을을 다니면서 곡식․금전 등을 얻어 들이는데, 이 금품은 마을을 위한 공공사업에 씀. 사자놀음. 사자놀이. 신라 진흥왕 때 우륵이 지었다고 전하는 가얏고 12곡 중의 하나.[4]라고 민속놀이의 사자탈춤으로 수록하였다.
- 사자기(師子伎)는 김동일(金東旭)은 개장(開場)의 액(厄)풀이 악(樂), 양주동(梁柱東)은 산예(狻猊)와 관계, 김태식(金泰植)은 산예(狻猊)와 비슷한 기악(伎樂)[5]으로 비정했다.
- 여덟번의 사자기는 신라의 산예와 같은 것으로서 사자 비슷한 가면을 쓰고 노는 사자춤에 쓰인 음악이라 풀이하고 있다.[6][7]
- 동도향악(東都鄕樂)에금환(金丸)․월전(月顚)․대면(對面)․속독(束毒)․산예(狻猊)의 다섯 가지 검무희(劍舞戱)가 있는데, 최치원(崔致遠)이 각각 오기 절구시(五伎絶句詩)를 지었다.
산예시(狻猊詩)에, 만리 사막 먼먼 길 왔는데 遠涉流沙萬里來 털옷 다 헤어져서 먼지가 보인다. 毛衣破盡着塵埃 머리 흔들고 꼬리치며 어진 덕에 길들여졌으니 搖頭掉尾馴仁德 웅장한 기상은 어찌 뭇 짐승의 재주와 같을까? 雄氣寧同百獸才[8]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