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우방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우방재(于邦宰)는 고려 중기의 무신이다. 본관은 목주(木州). 벼슬이 형부상서(刑部尙書)를 거쳐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에 이르렀다.

간략 정보 우방재于邦宰, 임기 ...
Remove ads

생애

1135년(인종 13) 서경(西京)에서 묘청(妙淸) 등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김부식(金富軾) 휘하의 장군으로 병사들을 이끌고 반란군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다.[1]

1153년(의종 7) 음력 2월 12일(양력 3월 8일) 형부상서(刑部尙書)에 제수되었으며,[2] 벼슬이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에 이르렀다.

아들은 명종 때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에 오른 우학유(于學儒)이다. 당시 무신들이 문신들에게 억눌려 있는 상황에 대하여, 아들 우학유(于學儒)에게 타이르며 말하기를, "무관(武官)이 문관(文官)에게 굴욕을 당한지 오래이니, 어찌 분함이 없겠느냐? 문관을 없애는 것은 썩은 나무토막을 부러뜨리는 것같이 쉽다. 하지만 문관이 해를 당하면 곧 그 화가 우리들에게 미칠 것이니 너는 삼가야 한다."라고 하였다. 의종 말 이의방(李義方) 등이 무신정변을 일으킬 때 우학유에게 함께 거사할 것을 권하였는데, 우학유는 아버지의 훈계를 핑계로 거절하였다.[3] 며느리는 전주 이씨조선 태조 이성계의 6대조인 이린이의방의 누이다.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