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우쓰노미야 구니쓰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우쓰노미야 구니쓰나(일본어: 宇都宮国綱 うつのみや ただつな[*], 에이로쿠 11년(1568년) ~ 게이초 12년 음력 11월 22일(1608년 1월 9일))는 시모쓰케국센고쿠 다이묘이다.

간략 정보 시대, 출생 ...
Remove ads

생애

덴쇼 4년 음력 8월 7일(1576년 8월 30일) 아버지 히로쓰나(広綱)의 죽음으로 우쓰노미야 씨 22대를 이어받았으나, 나이가 어렸고 아버지만큼의 정치력이 없었던 탓에 미부씨(壬生氏)나 미나카와씨(皆川氏) 등 국내 반대세력들이 활발하게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게 되었고, 고호조씨의 침공도 격화되었다. 이에 맞서 구니쓰나는 히타치사타케씨가즈사의 유키씨(結城氏), 가이다케다 가쓰요리, 나중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도 손잡고 맞서기에 이른다. 그러나 오다와라 정벌 직전에는 가누마성(鹿沼城), 모카성(真岡城), 미부성(壬生城)는 등 주변 여러 성들이 모두 고호조 씨로부터 이반하였고, 구니쓰나는 거점을 평지인 우쓰노미야성(宇都宮城)에서 산성인 다케성(多気城)으로 옮길 수 밖에 없을 정도로 수세에 몰렸고, 히데요시의 출진을 바랄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그리고 덴쇼 18년(1590년) 히데요시의 오다와라 정벌에 가담, 이시다 미쓰나리의 지휘로 오시성 공격 등에 참가하였고, 시모쓰케국 18만 석 영지의 주인이 되었다.

구니쓰나는 히데요시의 명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하였다. 또한 히데요시의 힘을 배경으로 일문의 통제를 강화할 수 있었으며[3] 분로쿠 3년(1594년)에는 도요토미(豊臣) 성씨를 사성받기도 했다. 그러나 게이초 2년 음력 10월 13일(1597년 11월 22일) 히데요시는 갑작스럽게 구니쓰나에 대한 개역(改易) 명령을 내렸다.[4] 그 뒤 구니쓰나는 우쓰노미야 집안에서 쫓겨나 히젠국(備前国)의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秀家) 휘하로 들어 갔고, 「조선에서의 전공에 따라 재흥을 허락하겠다」는 히데요시의 말을 듣고 우쓰노미야 씨 재흥을 위해 정유재란(일본명 게이초의 역)에도 참전하였고, 순천성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나[5] 히데요시의 죽음으로 재흥의 꿈은 끝내 물거품으로 돌아갔다.[6]

그 뒤 여러 구니를 떠돌다 게이초 12년(1607년)에 에도의 아사쿠사(浅草) 이시하마(石浜)에서 병사하였다고 전해진다. 향년 40세.

아들 요시쓰나(義綱)는 장성한 뒤 미토번의 번사가 되었다. 구니쓰나의 처 고소쇼(小少将)는 도쿠가와 마사코(徳川和子, 도쿠가와 가즈코)의 유모였기에 마사코가 황후로 간택되어 입궁할 때 교토로 상경했다고 한다.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