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면 통행

방향이나 교통 흐름에 따른 통행 방식이나 체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대면 통행
Remove ads

대면 통행(對面通行, Facing Traffic), 양방 통행(兩方通行, Bidirectional Traffic) 또는 쌍방 통행(雙方通行)은 한 길에서 둘 이상의 통행자가 서로 마주보며 반대 방향으로 갈 수 있는 형태를 말한다. 대면 통행의 반대어는 일방 통행(一方通行, One-Way Traffic)이다.

Thumb
2020년 통행 방향별 국가
  ⇅ 좌측 통행
  ⇵ 우측 통행

대면 통행에는 좌측 통행(左側通行, Left-Hand Traffic, LHT)과 우측 통행(右側通行, Right-Hand Traffic, RHT)이라는 두 종류의 원칙이 있는데, 둘 중 어느 것을 따르는지에 대한 여부는 각 나라마다 다르다. 통계상 전 세계 인구의 66% (2/3)가 우측 통행을, 34% (1/3)가 좌측 통행을 따르는 나라에서 살고 있으며, 전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도로의 길이를 합쳤을 때는 72% (3/4) 가 우측 통행을, 28% (1/4)가 좌측 통행을 따른다고 나와 있다.[1][2]

Remove ads

한국

Thumb
좌측 통행의 원칙을 따랐던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의 차도.

한국대한제국 때 우측 통행의 원칙을 따랐다가 일제강점기 때 좌측 통행의 원칙을 따랐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따로 국가를 건설하면서 두 나라 모두 우측 통행의 원칙으로 변경을 하였는데, 이것은 남과 북이 각각 미국소련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기 때문이다.[3]

대한민국

Thumb
우측 통행의 원칙을 따르는 대한민국의 차도. 서울특별시동부간선도로.

2009년 법 개정

대한민국에서 그동안 차량 도로는 미국식인 우측 통행의 원칙을 따랐었고, 보행 도로는 일본식인 좌측 통행의 원칙을 따랐었다. 이와 같은 사회 규칙의 혼선으로 인해 사회적 논란이 계속 일어 왔었고, 그러다 2009년 10월 1일에 법 개정을 통하여 모든 도로가 우측 통행의 원칙을 따르는 것으로 통일했다.[4][5] 원래는 보행도로에 대한 규정은 없었고, 예전에 보행자와 차량이 같이 움직이는 도로(보도와 차도의 구분이 없는 도로)에서는 보행자는 왼쪽, 차량은 오른쪽으로 움직인다고 규정되어 있었다.[6] 흔히 인용되는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우측통행이었다는 부분도 보행도로에서의 규칙이 아니라, 보행자와 우마차가 같이 다니는 도로의 경우로 볼 수 있다.[7]


2010년 7월 1일부로 전부 우측 통행으로 변경되어 우측 통행이 실시되었다.

Remove ads

영국

좌측 통행 국가의 원조인 영국은 마차들이 좌측 통행을 했던 것이 시초이다. 마차가 우측 통행을 하면 오른손의 채찍이 인도쪽을 향하게 되므로 보행자가 다칠 수 있다. 하지만 마차가 좌측 통행을 하면 채찍이 중앙선을 향하게 되어 보행자가 다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영국의 마차는 좌측 통행을 실시 하게 되었다.

일본

일본은 원래부터 좌측 통행을 원칙으로 정하고 있다. 그러나 오키나와미국 식민지 시절 잠시 우측통행을 하였으나 오키나와가 1972년 미국으로부터 반환한 후 6년간의 유예 기간을 거쳐 1978년 7월 30일부로 좌측 통행으로 변경하였다.

스웨덴

스웨덴은 원래부터 좌측 통행을 원칙으로 하였으나 이웃 주변 국가인 핀란드, 노르웨이 경계 지점에서 서로 충돌사고가 일어나는 부작용이 있어 300여년간 꾸준히 지켜 오던 좌측 통행이 1967년 9월 3일을 기해 우측 통행으로 전환하였다.[8]

아이슬란드

아이슬란드는 원래부터 좌측 통행을 원칙으로 정하였으나 1968년 5월 26일 오전 6시를 기해 우측 통행으로 전환하였다.

나라별 차량 통행 방향[9]

자세한 정보 국가, 구분 ...
Remove ads

국가별로 다른 차량 통행 방향에 대한 오해

Remove ads

통행 방향에 따른 운전석의 위치

Thumb
운전석의 위치가 다른 차량의 운행 합법 여부
  불법
  운행은 합법이나 등록은 불법 또는 알 수 없음
  운행은 합법이나 등록은 무역 등 특수한 용도에 한해 합법, 그 외의 경우 불법이거나 알 수 없음
  합법
  자료 없음

우측 통행을 하는 나라에서는 운전대와 운전석이 좌측에 있으며, 좌측 통행을 하는 나라에서는 운전대와 운전석이 우측에 있다. 이는 중앙선과 운전자의 거리를 가깝게 하여 시야 확보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러시아, 일본 등에서는 운전석의 위치가 달라도 운전석의 위치가 다른 차량을 운행하는 것은 불법이 아니나, 그리스, 사우디아라비아, 아르메니아, 시에라리온, 중화민국, 필리핀 등에서는 운전석의 위치가 다른 차량을 운행할 경우 불법이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