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운중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운중군(雲中郡)은 중국의 옛 군이다.

전국·진

전한

전한 초에는 전한의 제후왕국인 대나라의 지군이었으며, 고제 11년(기원전 196년) 고제가 흉노 등 중국 북쪽에 사는 민족들에게 시달리는 대나라의 방어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운중군을 분할하고 한나라의 직할 군으로 삼았다. 분리된 운중군 동부는 정양군이 돼 여전히 대나라에 속했다. 이후로는 전한 멸망까지 행정구역의 변동이 없었다.[1][2]

병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38,303호, 173,270명이 있었다. 치소는 운중현이다. 아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내용이다.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1현이다.[3]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Remove ads

군의 이름을 수항(受降)으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자세한 정보 전한, 신 ...

후한

11현 5,351호 26,430명의 주민들을 통치했다. 후한시기부터 이지역에 정착한 선비족의 공격에 시달리면서 인구가 급감하였고 결국 215년 정양군, 삭방군, 오원군과 함께 현으로 격하되었다. 그리고 신저우 시 위안핑 시 서부로 치소가 이관되었고 신흥군으로 통폐합되면서 옛 운중군지역은 버려졌다. 그리고 버려진 운중군의 자리는 탁발선비가 차지하게 되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Remove ads

북조

탁발선비가 이지역을 거점으로 삼은 것에서 큰 변동없이 유지되면서 북위의 영역으로 들어갔다. 처음에는 삭주에 속했다가 후에 운주(雲州)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연민현(延民縣)과 운양현(雲陽縣)의 2현을 두었고 성락지역은 성락군으로 분리되었다.

북위가 멸망한 뒤 동위, 북제의 지배를 받았다가 북제가 멸망하면서 수나라의 전신이 되는 북주의 지배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수나라는 운중군을 폐지했다.

군수·태수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