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울고 싶은 나는 고양이 가면을 쓴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울고 싶은 나는 고양이 가면을 쓴다》(일본어: 泣きたい私は猫をかぶる 나키타이 와타시와 네코오 가부루[*])는 2020년 공개된 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로, 6월 18일 넷플릭스로 전세계 동시 개봉했다. 약칭은 나키네코(NAKINEKO)라고 한다. 고양이의 모습으로 좋아하는 사람을 만나러 가는 청춘 판타지물이다.[1]
오카다 마리가 각본을 담당했고 사토 준이치와 시바야마 도모타카가 연출했다.
2020년 4월 2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발매일을 연기하게 되었다.[2]
Remove ads
줄거리
켄토를 좋아하는 미요,하지만 켄토는 미요의 마음을 받아주지 않는다.미요는 축젯날 말하는 고양이에게 고양이 가면을 받았다. 미요는 그 가면을 쓰고 하얀 고양이가 되어 켄토를 찾아간다. 하지만 영원히 고양이가 될 위기에 처한다.
등장인물
- 사사키 미요
- 성우 - 시다 미라이
- 아이치현 도코나메시에 거주중인 중학교 2 학년.
- 종잡을 수 없는 괴짜로 동급생들에게 무게(무한 게이지 수수께끼 인간)라 불린다. 같은반의 히노데 켄토를 좋아하나 고양이로밖에 다가가지 못한다. 점점 본래의 자신과 고양이로서의 자신의 경계가 모호해져간다.
- 히노데 켄토
- 성우 - 하나에 나츠키
- 미요와 같은반.
- 생각한데로 내뱉지 못하는 솔직하지 못한 성격. 자신의 앞에 등장한 고양이가 사실은 미요인것을 모른다.
- 후카세 요리코
- 성우 - 코토부키 미나코
- 미요의 단짝친구
- 이사미 마사미치
- 성우 - 오노 켄쇼
- 사사키 요지
- 성우 - 치바 스스무
- 미즈타니 카오루
- 성우 - 카와스미 아야코
- 사이토 미키
- 성우 - 오오하라 사야카
- 사카구치 토모야
- 성우 - 나미카와 다이스케
- 고양이가게 주인
- 성우 - 야마데라 코이치[3]
- 미요에게 고양이 가면을 건네준 사람.
- 구스노키 선생님
- 목소리 - 오기 히로아키[3]
- 미요의 담임.
Remove ads
제작진
- 감독 - 사토 준이치, 시바야마 토모타카
- 각본 - 오카다 마리
- 음악 - 쿠보타 미나
- 캐릭터 디자인 - 이케다 유미
- 연출 - 시미즈 유우지
- 작화 감독 - 카토 후미, 요코타 타다시, 나가에 아키히로, 무라야마 마사나오, 야부모토 카즈히코, 이시카와 준, 후지마키 유이치, 우에무라 쥰, 코미네 마사요리, 하시모토 타카노리, 이시다 테나미코, 카토 마유코, 오노다 타카유키, 타자와 유시오
- 미술 감독 - 타케다 유스케, 마시키 타카마사
- 색채 설계 - 다나카 미호
- CG 디렉터 - 사이토 츠카사
- 촬영 감독 - 마츠이 신야
- 편집 - 니시야마 시게루
- 제작 - 스튜디오 콜로리도[1]
- 기획 - 트윈 엔진[4]
- 제작 - 「울고 싶은 나는 고양이를 쓴다」제작위원회(후지 텔레비전, 트윈 엔진, FCC, 도호, 유니버설 뮤직, KDDI, KADOKAWA, BS후지, 덴츠 메이테츠 커뮤니케이션)
주제가
- 주제가
- 삽입곡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