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울산 북구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울산 북구의 행정 구역은 8개 행정동(27개 법정동)으로 구분되며, 울산 북구의 면적은 157.344km2이며, 인구는 2013년 12월 31일 기준으로 63,554세대, 187,968명이다.[1]
행정 구역
법정동
연혁
구의 역사
- 1997년 7월 15일 : 울산광역시 출범. 중구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과 울주구(현.울주군) 농소읍, 강동면을 관할하는 북구가 신설되었다. 농소읍을 농소1·2·3동으로, 강동면을 강동동으로 변경.(8개동)
- 1998년 3월 1일 : 동구 염포동이 북구로 편입.(9개동)
- 1998년 10월 1일 : 진장동이 효문동에 통합.(8개동)
- 2001년 6월 1일 : 구청 소재지를 남구 신정동 585-9번지에서 연암동 1004-1번지로 변경.
박제상과 정자항
박제상이 일본으로 떠났다고 기록돼 있는 '율포항'를 오늘날 북구의 정자항으로 보기도 하다. 사서에 기록된 '율포' 지명이 변하여 오늘날 유포(정자항의 별칭)가 됐다고 보는 견해를 중요한 한 근거로 한다. 그밖에 박제상과 관련된 유적인 망부석, 치술령 유적 등이 대부분 북구에 있다는 점도 주장의 중요한 근거로 삼는다. 이러한 주장을 신봉하는 사람들에 의해 정자항에는 '정자항이 박제상이 떠난 곳'이라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율포항이 정자항이라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염포
조선 태종 시기인 1418년 개항한 염포는 일본에게 개항한 삼포 중 한 곳이자 오늘날 울산광역시 북구 염포 지역이다. 왜관을 두어 일본인들이 머물 수 있도록 하였다. 염포는 부산포(부산광역시)나 내이포(창원시 진해구)에 비해 일본에서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었기 때문에 일본인들이 상대적으로 적게 왕래하였다. <<울산염포지도>>와 신숙주의 <<해동제국기>>에는 염포산 앞 오늘날 성내 일대에 염포 왜관이 있었던 것으로 돼있다.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