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K.0400, T.0842) 줄여서 《원각경》(圓覺經)은 대승불교불경이다. 당나라 때 북인도 계빈(罽賓)의 승려 불타다라가 한역(漢譯)하였다.

《대방광원각경》, 《원각수다라요의경》, 《원각요의경》이라고도 하며, 한국의 불교 강원에서 4교과의 하나로 채택된 경전으로 불교수행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경전이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일체 중생의 본래성불(本來成佛)을 드러내는 ‘원각’ 즉, 원만한 깨달음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가장 뛰어난 경전이라는 뜻이 된다.

주석서

  • 당나라 종밀의 《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략소주(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略疏註)》(약소, T.1795)

문화재 지정

보물

  • 상지금니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 보물 제753호, 서울 관악구, 호림박물관 소장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 권상 1의1, 2의1~3, 권하1의1~2, 2의2~3 : 보물 제970호,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2,하1의1~2의2 : 보물 제1219-1호, 서울 서대문구, (재)아단문고 소장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2의2, 권하3의1~3의2 : 보물 제1219-2호, 경기 하남시, 광덕사 소장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 권하 1의1∼2, 2의1∼2 : 보물 제1219-3호, 부산 기장군, 취정사 소장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 : 보물 제1514호, 경기 성남시,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권1 : 보물 제1518호, 서울 강남구, 권태원 소장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 보물 제1518-2호, 울산 울주군, 양덕사 소장

시도 지정 문화재

Remove ads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