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월수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유래
군명에 들어가는 수(巂)는 사기와 한서 서남이열전에서 거론되는 남이 종족 중 하나로, 곤명(昆明)과 함께 북으로 엽유(葉楡), 서로 동사(桐師)에 이르기까지 산다.[1] 한편 《한서》 지리지의 응소 주석과 《후한서》 서남이열전에서는 수수(巂水)를 넘어간[越] 지역이므로 월수라 부른다 하나, 한서 서남이열전에서 월을 월(粤)로 바꿔쓴 기록이 있으므로 이를 부정하는 의견도 있다.[2][3] 《약수주》에서는 월수수(越巂水)를 승수(繩水) 곧 지금의 진사강으로 보나, 진사강과는 별도로 난현, 곧 현재의 웨시 현을 지나는 강을 월수수로 보기도 한다.
전한
무제 원정 6년(기원전 111년)에 서남이를 개척하면서 서남이 종족 중 공도(邛都)와 작도(莋都)의 거주 지역에 설치됐다. 이해 남월을 치기 위해 한나라에서 남이의 군대를 징발하자 반란이 일어났다. 무제는 남월을 치기 위해 징발한 군대로 반란을 진압하고 서남이의 항복을 받았으며 공군(邛郡)과 작후(莋侯)를 죽였다. 공도는 월수군의 치소가 됐고, 작도에는 침려군(후의 한가군)을 설치했으나 월수군에 작진현 등 작도에서 유래한 현들이 여럿 있다.[4]
익주에 속하였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61,208호, 인구 408,405명이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5]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5현(14현 1도)이다.
Remove ads
신
이름을 집수(集巂)로 고쳤다.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