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위그너-에카르트 정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양자역학에서 위그너-에카르트 정리(Wigner–Eckart theorem)는 텐서 연산자의 행렬 원소에 대한 정리다. 구면 텐서 연산자의 각운동량 고유상태에 대한 기댓값은 각운동량의 전체 크기에만 의존하고, 특정 방향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개
3차원 회전군 SO(3)는 (국소적으로) 특수 유니터리 군 SU(2)와 같다. SU(2)의 기약 표현(irreducible representation)은 0, , 1, ,등이 있다. (전체 각운동량을 굵은 글씨로 나타낸다.)
기약 표현 는 개의 성분을 가진다. 임의의 텐서 표현 은 이런 기약 표현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텐서 표현의 기약 분해는 오직 가 정수인 표현 만을 포함하고, 가 반정수인 스피너 표현 (, 등)을 포함하지 않는다.
SU(2) 표현 를 따라 변환하는 값을 차 구면 텐서(spherical tensor)라고 하고, 이러한 표현을 따라 변환하는 연산자를 차 구면 텐서 연산자(spherical tensor operator)라고 한다.
차 구면 연산자 ()를 생각하자. 이 구면 연산자의 행렬 성분을, 각운동량 고유 기저 (즉, , 을 만족하는 기저)에서 계산하자. 그렇다면 행렬 성분들은 다음과 같은 꼴을 취한다.
- .
여기서 는 와 , 에만 의존하는 값이고, 은 클렙슈-고르단 계수다. 이 식을 위그너-에카르트 정리라고 한다.
Remove ads
낮은 차수에서의 위그너-에카르트 정리
요약
관점
흔히 다루는 텐서 연산자는 인 스칼라 연산자나 인 벡터 연산자다. 스칼라 연산자의 경우에는 위그너-에카르트 정리는 단순히
이다. (여기서 는 물론 크로네커 델타다.) 벡터 연산자의 경우에는 위그너-에카르트 정리는 다음과 같다.
이다. 이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다음과 같다.
(나머지 계수는 모두 0이다.)
구면 1-텐서로서의 성분 는 벡터로서의 성분 ()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