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윌런스 빙하류
서남극 빙상에 있는 한 빙하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윌런스 빙하류(Whillans Ice Stream, 남위 83° 40′ 서경 145° 00′ )는 서남극 빙상의 빙하 지형으로, 이전에는 빙하류 B(Ice Stream B)로 알려졌으나, 2001년에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의 빙하학자 이언 윌런스를 기리기 위해 이름이 변경되었다.[1]

Remove ads
연구
윌런스 빙하류는 서남극 빙상에서 로스 빙붕으로 흘러 들어가는 약 6개의 크고 빠르게 움직이는 빙하의 강 중 하나이다. 이 빙하류는 다양한 빙하학 연구의 대상이 되는데, 그중 하나는 주기적으로 차오르거나 빠지면서 얼음의 움직임을 가속화할 수 있다고 연구자들이 믿는 빙저호를 조사하는 것이다.[2]
미국 국립과학재단의 자금 지원을 받은 다른 연구자들은 2008년 6월 5일자 학술지 네이처에 지진 및 GPS 데이터로부터 윌런스 빙하류가 매일 두 차례의 지진파를 방출하며, 각각은 M7급 지진에 해당한다고 보고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이 얼음 강은 약 30분 안에 약 0.5미터를 이동하고,[3] 12시간 동안 정지한 후 중력 조석과 동조하여 다시 0.5미터를 이동한다. 이동할 때마다 남극 전역과 심지어 6,400km 이상 떨어진 오스트레일리아까지의 지진계에 기록되는 지진파를 방출한다.[4] 2024년에는 이 빙하류에서 발생하는 크고 느린 지진 현상이 인접한 로스 빙붕을 수분 내에 최대 6 cm까지 갑작스럽게 이동시키며, 빙붕 내에 갇힌 지진파가 북쪽으로 전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5]
2007년에는 ICESat 위성(Fricker 외, 2007)의 반복 추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윌런스 빙하류 아래에 여러 개의 상호 연결된 빙저호로 구성된 활성 빙저수 시스템이 발견되었다. 이 활성 호수 중 하나인 빙저 윌런스 호는 미국 국립과학재단이 자금을 지원하는 주요 시추 프로그램(윌런스 빙하류 빙저 접근(WISSARD))의 대상이 되었으며, 2013년 1월 28일에 성공적으로 호수에 도달했다.[6]
2015년 1월, 접지선 근처에서 시추 작업을 통해 얼음 아래 어둡고 차가운 물에 서식하는 물고기, 갑각류, 해파리 군집이 발견되었다. 원격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에는 20 센티미터 (7.9 in) 크기의 물고기와 옆새우가 보였다.[7]
Remove ads
같이 보기
- 콘웨이 빙맥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