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윌리엄 크룩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윌리엄 크룩스
Remove ads

윌리엄 크룩스 경(영어: Sir William Crookes, OM, FRS, 1832년 6월 17일 ~ 1919년 4월 4일)은 영국화학자이자 물리학자이다. 1897년 나이트 작위(爵位)를 받았으며, 1898년 영국 과학진흥협회의 회장, 학사원(學士院) 회장을 역임했다. 1861년 탈륨을 발견하였으며, 1883년 희토류원소를 연구하여 이트륨 분리에 성공하였다.[1]

간략 정보 윌리엄 크룩스Sir William Crookes, 로마자 표기 ...
Thumb
윌리엄 크룩스 (1906년)
Remove ads

생애

런던 출생으로 왕립 전문 학교에서 화학을 배우고, 옥스퍼드대학의 래드클리프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체스터 트레이닝 칼리지에서 강의하기도 했다. 1859년 《Chemical News》를 발간하고 자택에 연구소를 설치, 각종실험을 실시했다.[2]


1861년 탈륨을 발견하고, 그 원자량을 정했다. 또한 복사에너지의 크기를 측정하는 장치인 복사계를 발명했다. 1870년대에는 음극선의 움직임을 연구하려고 진공관을 만들었는데, 윌리엄 크룩스의 이름을 따서 크룩스관이라 명명되었다. 크룩스관은 오늘날 전자장치에 쓰이는 음극선관을 발전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한때는 심령현상(心靈現象) 연구에 몰두하였고, 만년에는 인공 다이아몬드의 제조에 열중하기도 하였다.

크룩스는 1898년 영국 과학 진흥 협회의 회장으로 취임하며 한 연설에서 다가올 재앙을 상세히 설명했다. 1930년대에 식량위기가 올 것이며, 그 이유는 천연자원에서 얻을 수 있는 질소 비료의 부족 때문이라고 주장했다.[3] 그는 화학자들에게 대기 중 엄청난 양의 질소(약 80%의 질소)로 비료를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할 것을 촉구했다. 기근에 대한 그의 발언은 신문에 실려 널리 퍼졌다. 그의 촉구에 부응하여 20세기 초반에 독일의 화학자 프리츠 하버(Fritz Haber)와 칼 보쉬(Carl Bosch)는 공중질소를 고정하여 화학비료의 생산기술을 개발하여 인류를 대기근의 두려움에서 해방시켰다.[4]

Remove ads

서훈

각주

참고 자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