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현대 역사가들은 윌리엄 F. 올브라이트나 에드윈 R. 틸레가 예전에 확립한 연대표를 주로 따르지만,[1] 그보다 최근에 발표된 게르송 가릴이나 케네스 키친의 연대표도 종종 사용하는 편이다.[2] 아래에 네 학자의 연대표가 나와 있으며, 연도는 모두 기원전임을 알려둔다.
자세한 정보 이름, 올브라이트 ...
이름 |
올브라이트 |
틸레 |
가릴 |
키친 |
특이사항 |
|
다윗 헤브론에서 7년간 유다를 다스렸으며, 예루살렘에서 33년간 온 이스라엘과 유다를 다스려 모두 40년간 통치함. |
1000–962 |
|
1010–970 |
1010–970 |
죽음: 자연사 |
솔로몬 예루살렘에서 40년간 온 이스라엘과 유다를 다스림. |
962–932 |
|
970–931 |
971–931 |
죽음: 자연사 다윗과 밧세바의 아들, 왕위 승계 당시에 이복 형 아도니야와 갈등. |
르하브암 17년간 재위. |
932–915 |
931–913 |
931–914 |
931–915 |
죽음: 자연사 |
아비얌 3년간 재위. |
915–913 |
913–911 |
914–911 |
915–912 |
죽음: 자연사 |
아사 41년간 재위. |
913–873 |
911–870 |
911–870 |
912–871 |
죽음: 심각한 발 병 |
예호샤팟 25년간 재위. |
873–849 |
870–848 |
870–845 |
871–849 |
죽음: 자연사 |
예호람 8년간 재위. |
849–842 |
848–841 |
851–843 |
849–842 |
죽음: 심각한 내장 질환. |
아하즈야 1년간 재위. |
842–842 |
841–841 |
843–842 |
842–841 |
죽음: 왕권 탈취를 위해 반란을 일으킨 예후에게 살해됨. |
아탈야 (여왕) 6년간 재위. |
842–837 |
841–835 |
842–835 |
841–835 |
죽음: 요아스를 보호하던 제사장 여호야다의 군대에게 살해됨. 여호람의 남편이자 아햐시야의 어머니. |
요아스 40년간 재위. |
837–800 |
835–796 |
842–802 |
841–796 |
죽음: 암몬 여자인 시므앗의 아들 자밧과, 모압 여자 시므릿의 아들 여호자밧이 일으킨 반란으로 죽음. |
아마츠야 29년간 재위. |
800–783 |
796–767 |
805–776 |
796–776 |
죽음: 라키스에서 모반을 일으킨 신복들에게서 죽음을 맞이함. |
아자르야 52년간 재위. |
783–742 |
767–740 |
788–736 |
776–736 |
죽음: 나병 |
요탐 16년간 재위. |
742–735 |
740–732 |
758–742 |
750–735/30 |
죽음: 자연사 |
아하즈 16년간 재위. |
735–715 |
732–716 |
742–726 |
735/31–715 |
죽음: 자연사 아시리아의 왕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공물을 바쳤으나 오히려 공격받음. |
히즈키야 29년간 재위. |
715–687 |
716–687 |
726–697 |
715–687 |
죽음: 자연사 아시리아의 센나케립과 바빌론의 마르둑-아플라-이디나 2세와 동시대의 인물. |
메나쉐 55년간 재위. |
687–642 |
687–643 |
697–642 |
687–642 |
죽음: 자연사 에살핫돈과 동시대의 인물. |
아몬 2년간 재위. |
642–640 |
643–641 |
642–640 |
642–640 |
죽음: 신복들에게 죽음을 맞이하나 신복들 또한 나중에 유다 사람들에게 죽음을 당함. |
요시야 31년간 재위. |
640–609 |
641–609 |
640–609 |
640–609 |
죽음: 이집트 파라오 네코 2세와 싸우다 화살에 맞음. 예수살렘으로 갔으나 곧 전사함. |
예호아하즈 3개월간 재위. |
609 |
609 |
609 |
609 |
죽음: 이집트 파라오 네코 2세가 그를 왕위에서 몰아내고 여호야킴을 새로 왕위에 세움. 이집트로 끌려가 그 곳에서 죽음. |
예호야킴 11년간 재위. |
609–598 |
609–598 |
609–598 |
609–598 |
죽음: 자연사 재위 4년이 되던 해 갈그미스 전투가 일어남. |
예호야킨 (여고나) 3개월 10일간 재위. |
598 |
598 |
598–597 |
598–597 |
죽음: 바빌론의 네부카드네자르 2세에게 끌려가서 바빌론에서 살다 죽음. 예루살렘은 바빌로니아인들에게 포위되었고 기원전 597년 3월 16일 여호야긴은 자리에서 물러남. 예레미야서와 에스더에서는 여고나로 기록됨. |
치드키야 11년간 재위. |
597–587 |
597–586 |
597–586 |
597–586 |
죽음: 미상. 바빌론의 네부카드네자르 2세를 상대로 반격하려 하지만 오히려 예루살렘은 포위당함. 실명된 채 감옥에서 남은 삶을 보냄.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