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유연어

4-6세기 몽골과 중국 북부의 미분류 사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유연어(Rouran중국어: 柔然語) 혹은 연연어(Ruanruan, 중국어: 蠕蠕語)는 몽골과 중국 북부에서 사용되었던 사어(死語)로, 4~6세기 유연(柔然) 왕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였지만 어느 어계인지 명확하지 않지만 몽골어의 초기 형태로 추정된다.[2]

간략 정보 사용 국가, 사용 지역 ...

1935년, 언어학자 피터 부드버그(Peter A. Boodberg)는 중국 문헌 내의 유연 이름을 분석하여 유연어가 몽골어임을 주장했다.[3] 앳우드(Atwood)의 2013년 연구에서는 유연인들이 소그드어(Sogdian) 단어로 '아들(son)'을 뜻하는 'pūr'를 자신들의 언어로 *k’obun으로 번역차용(calque)하였고, 이것이 중국에서 '거분(去汾)'으로 음차되었으며(중고한어 *kʰɨʌH-bɨun), 그것이 중세몽골어(Middle Mongol)의 '아들'을 뜻하는 단어 'kö'ün'이 되었다고 주장한다.[4] 알렉산더 보빈(Alexander Vovin)은 고대 튀르크어(Old Turkic)는 미상의 비(非) 알타이어(non-Altaic language)로부터 몇 단어를 차용해 왔는데, 바로 그 미상의 언어가 유연어일 것이라고 주장하면서,[5] 만약 그렇다면, 유연어는 이웃 언어인 몽골어와 관련 없는 비 알타이어이며, 고립어(language isolate)일 가능성이 있지만, 증거는 희박하다고 하였다.[3] 2019년, 부구트 비문(Bugut inscription)과 후이스 톨고이 비문(Inscription of Hüis Tolgoi)을 분석하여 새로운 증거를 발견한 후, 보빈은 자신의 주장을 바꿔 유연어는 몽골어 계통이며, 중세몽골어와 가깝지만 완전히 일치하진 않는다고 주장했다.[2] 파멜라 카일 크로슬리(Pamela Kyle Crossley)는 2019년 연구에서 유연어 자체는 미궁이지만, 학계를 주도하는 언어학자들은 이를 고립어로 본다고 주장했다.[6]

Remove ads

음운론

유연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3]

  • 이중모음(mid vowel)이 없음
  • 단어 초두에 'l'이 올 수 있음
  • 단어 말미에 복자음(consonantal cluster) '-nd'가 올 수 있음, 이는 알타이어에서 흔치 않음

어형론

유연어는 여성형 접미사 '-tu-'가 있다.[3]

어휘

유연어 단어는 다음과 같다.[3][2]

  • küskü – 쥐(rat)
  • ud – 황소(ox)
  • luu – 용(dragon) < 중고한어(Middle Chinese) luŋ – '용'
  • yund – 말(horse) < 고대 튀르크어 𐰖𐰆𐰣𐱃(yunt) - '말'[7]
  • laγzïn – 돼지(pig)
  • qaγan – 카간(qagan), 가한(可汗), 황제(emperor)
  • qan – 칸(khan)
  • qaγatun – 카가툰(qagatun), 황후(empress)
  • qatun – 카툰/하툰(khatun) 즉 칸의 아내(khan's wife)
  • aq – 똥(dung)
  • and – 맹세(oath) < 고대 튀르크어 𐰦(ant) '맹세'
  • beg – 노인장(elder)
  • bitig – 비문(inscription)
  • bod – 사람들(people)
  • drö – 법(law)
  • küǰü – 강함(strength) < 고대 튀르크어 𐰚𐰇𐰲(küč) '강함, 힘'
  • ordu – 군영(camp)
  • tal- – 약탈하다(to plunder)
  • törö – 태어나다(to be born)
  • türǖg – 투르크인(Turk)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