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유취국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유취국사(類聚國史, 일본어:

이 책의 본문 중, 일본삼대실록을 발췌한 부분에 대해서는, 삼대실록은 901년(엔기[延喜] 원년)에 완성되었고, 그 직전에 미치자네가 다자이후에 유배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 부분은 후세에 가필된 것이라는 설과, 일본삼대실록의 편찬에는 미치자네 자신도 관여하고 있었기 때문에, 삼대실록 완성 이전에 그 초고를 가지고 있었기에, 유배되기 이전에 그 초고를 기초로 하여 가필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원래는 본문 200권, 목록 2권, 계도 3권을 합한 205권이었으나, 오닌의 난으로 인해 대부분이 소실된 것으로 여겨지며, 현존하는 분량은 62권에 지나지 않는다. 신기(神祇), 제왕(帝王), 후궁(後宮), 인사(人事), 세시(歳時), 음악, 상연(賞宴), 봉헌(奉献), 정리(政理), 형법(刑法), 관직 제도, 문학, 전지(田地), 상서(祥瑞), 재이(災異), 불도(佛道), 풍속, 특이한 풍속(殊俗) 등 18가지의 분류(유취[類聚])로 되어 있으며, 소실된 부분은 국학원대학 다카다 아츠시(高田淳) 교수에 의하면, 동궁(東宮), 정토(征討), 지명 등 5개의 분류가 있다고 한다. 특기할 점은 특정 내용을 검색하기 쉬운 헤이안 전기의 사서로서 특히 역사상의 선례를 조사하는 데에서 편의를 도모하였으며, 원문주의를 취하여 육국사의 원문 문장을 개변하지 않고 수록하였다. 육국사 중 일본후기의 대부분이 소실되어 전해지지 않기에, 그 내용을 복원하는 자료로서도 가치가 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