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단순 연분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수학에서, 단순 연분수(영어: simple continued fraction) 또는 정칙 연분수(영어: regular continued fraction)는 다음과 같은 꼴의 분수를 뜻한다.

여기서 은 정수, 은 유한 또는 무한 개의 양의 정수이다.

모든 단순 연분수는 유일한 실수를 나타내며, 모든 실수는 본질적으로 유일한 단순 연분수 전개를 갖는다. 실수의 단순 연분수 전개가 유한할 필요충분조건유리수인 것이다. 실수의 단순 연분수 전개가 순환일 필요충분조건2차 대수적 수인 것이다. 실수 의 단순 연분수 전개가 순순환일 필요충분조건가 2차 대수적 수이며, 이며, 의 (에서의) 켤레 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단순 연분수의 이론과 방법은 실수의 유리수 근사와 펠 방정식의 풀이 등에 사용된다.

단순 연분수를 이루는 수열의 선택은 임의적이며, 실수의 단순 연분수 전개의 근사분수들은 최적 유리 근사를 통해 특징지을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연분수가 지니지 않는 좋은 성질이다. 예를 들어, 대각 연분수는 일부 수열에 대하여 정의되지 않으며, 최근 정수 연분수의 근사분수들은 간단하게 특징지을 수 없다.[1]:16, Notes, §2 따라서 단순 연분수는 다른 종류의 연분수보다 널리 응용되며, 흔히 연분수로 줄여 부른다.

Remove ads

정의

요약
관점

정수 와 양의 정수 유한 단순 연분수(영어: finite simple continued fraction)는 다음과 같다.

정수 와 양의 정수 무한 단순 연분수(영어: finite simple continued fraction)는 다음과 같은 형식적인 식이다.

만약 이 무한 단순 연분수의 유한한 절단 들로 이루어진 수열이 어떤 실수로 수렴한다면, 무한 단순 연분수 가 이 실수로 수렴한다고 한다. 즉, 무한 단순 연분수의 값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양의 정수 가 주어졌을 때,

  • 주기 순환 단순 연분수(영어: periodic simple continued fraction)는 다음과 같은 꼴의 무한 단순 연분수이다.
  • 주기 순순환 단순 연분수(영어: purely periodic simple continued fraction)는 다음과 같은 꼴의 순환 단순 연분수이다.

순환 단순 연분수의 최소 주기를 줄여서 주기라고 한다.

유한 또는 무한 단순 연분수 번째 근사분수(convergent)는

를 뜻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통해 정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은 항상 서로소 정수쌍이다.

유한 또는 무한 단순 연분수 반근사분수(semiconvergent)들은 다음과 같은 꼴의 분수들을 뜻한다.

그 밖에도, 유한 또는 무한 단순 연분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용어들을 정의한다.

  • 번째 부분몫(partial quotient):
  • 번째 완전몫(complete quotient):
Remove ads

성질

요약
관점

유한 단순 연분수

모든 유한 단순 연분수는 유리수이다. 반대로 모든 유리수는 정확히 두 가지 유한 단순 연분수로 나타내어지며, 이는 다음과 같은 꼴이다.

유리수의 단순 연분수 전개는 유클리드 호제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유리수 가 주어졌을 때 (, ), 유클리드 호제법에 따라

가 존재한다. 이 경우 이며,

이다.

무한 단순 연분수

모든 무한 단순 연분수는 항상 수렴하며, 극한은 항상 무리수이다. 반대로 모든 무리수는 무한 단순 연분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그 방법은 유일하다. 무리수 의 연분수 전개

는 다음과 같다.

무리수 와 그 단순 연분수 전개

와 근사분수들

이 주어졌을 때, 다음이 성립한다.

즉, 짝수째 근사분수는 실제 값보다 작은 데 비하여, 홀수째 근사분수는 실제 값보다 크다. 또한 짝수째 근사분수는 증가 수열, 홀수째 근사분수는 감소 수열을 이룬다.

순환·순순환 단순 연분수

무리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의 단순 연분수 전개는 순환 단순 연분수이다.
  • 는 (실수인) 2차 대수적 수이다. 즉, 는 어떤 정수 계수 2차 방정식의 근이며, 또한 이 2차 방정식의 판별식은 제곱수가 아닌 양의 정수이다. 즉, 제곱 인수가 없는 양의 정수 가 존재하며, 또한 이다.

2차 대수적 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의 단순 연분수 전개는 순순환 단순 연분수이다.
  • 이며 이다.

최적 유리 근사

가 실수, 가 정수, 가 양의 정수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 필요충분조건의 연분수 전개의 근사분수인 것이다.
  • 만약 라면, 의 연분수 전개의 반근사분수이다. 그러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가 실수이며, 의 연분수 전개의 번째 근사분수라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가 실수이며, 의 연분수 전개의 번째 근사분수라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물론, 가 무리수인 경우 엄격한 부등식이 성립한다.)
  • 다음 두 부등식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성립한다.
  • (후르비츠 정리) 다음 세 부등식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성립한다.

반대로, 디오판토스 근사에 대한 르장드르 정리(영어: Legendre’s theorem)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임의의 및 정수 와 양의 정수 서로소 정수쌍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의 연분수 전개의 근사분수이다.

펠 방정식

이 제곱수가 아닌 양의 정수이며, 의 연분수 전개의 주기이며, 의 연분수 전개의 번째 근사분수라고 하자. 그렇다면, 펠 방정식

의 음이 아닌 정수해는 다음과 같다.

  • 만약 가 짝수라면,
  • 만약 가 홀수라면,

또한, 펠 방정식

의 음이 아닌 정수해는 다음과 같다.

  • 만약 가 짝수라면,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
  • 만약 가 홀수라면,

또한, (의 홀짝성과 관계 없이) 다음이 성립한다.

Remove ads

요약
관점

예를 들어, 원주율 파이()의 근사분수들을 계산해 보자.

(보다 작은 최대 정수)

이런 식으로 계속 나간다.

이를 반복하면, 무한 연분수

를 얻는다.

의 세 번째 근사분수는 이며,이는 실제 값에 매우 가까운 값이다.

Remove ads

참고 문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