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유효반경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유효반경
Remove ads

유효반경(有效半徑, effective radius. 기호 )은 은하에서, 내부의 광도가 전체 광도의 절반이 되는 반지름이다. 이때 은하는 구대칭 모양이라고 가정한다. 적분식으로 서술하면,

Thumb

이 된다. 휘도에 대한 식으로 다시 쓰면 다음과 같이 서직 윤곽이 나온다.

이때 (i.e. 유효반경)일 때의 휘도이다.

Remove ads

타원은하의 경우

요약
관점

타원은하의 경우 , 이다. 이 값을 대입하면 서직 윤곽이 드 보클레르 윤곽이 된다.

그리고 (i.e. 은하의 중심)을 대입하면 ,

즉 타원은하 중심에서의 휘도 은 유효반경에서의 휘도 의 약 2000배이다.

그리고 유효반경 안의 평균휘도 임에 착상하여 맨 위의 광도식을 치환적분부분적분을 사용해 적절히 적분하면

임도 알 수 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