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항공사령부 (대한민국)

대한민국 육군 항공대의 사령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육군항공사령부 (대한민국)

육군항공사령부(陸軍航空司令部, Army Aviation Command, 약칭: 육항사)는 대한민국 육군육군 항공대 사령부이다. 주로 육군 항공병과 소장이 사령관을 맡는다.

간략 정보 육군항공사령부, 활동 기간 ...
육군항공사령부
陸軍航空司令部
Thumb
육군항공사령부의 부대 마크
활동 기간1999년 4월 20일 ~ 현재
국가 대한민국
소속 대한민국 육군
병과항공
종류기능 사령부
역할근접항공지원
규모사단[1]
명령 체계육군본부
본부경기도 이천시
별칭육항사
    노랑
장비장비 문단 참조
지휘관
사령관 육군소장 양윤석 (육사 49기)
닫기

임무

북한군 기계화 군단의 예상 진입로를 탐색 및 매복하여 타격하고 진격이 멈출 경우, 대규모 반격인 '결정적 공격작전'에 따라 예상 퇴각로를 찾아내어 최대한의 피해를 주는 근접항공지원과 특수 작전 등을 주 임무로 하고 있다.

역사

1999년 4월 20일, 항공 작전의 지휘통제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각 부대에 분산 편성되어 있던 항공대를 통합하여 창설하였다. 같은 해, 같은 달에 제203특공여단이 항공작전사령부로 배속되어 제1공중강습여단으로 개편되었으나, 2005년 다시 제2작전사령부 예하 제203특공여단으로 되돌려졌다.

2021년 12월 1일부로 부대 명칭이 기존의 '항공작전사령부'에서 '육군항공사령부'로 변경되었다.

사건 및 사고

2001년 5월 29일, 올림픽대교에서 조형물을 설치하고 귀환하려던 중에 CH-47 치누크의 블레이더가 조형물과 부딪혀 인도 옆의 난간 위로 추락하여 탑승자 3명(전홍엽 준위, 남인호 준위, 김우수 중사(추서계급))가 사망하였다.[2]

2007년 11월 5일, 강원도 인제군에서 호국훈련 도중, UH-60 블랙호크 2기가 프로펠러가 충돌 후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왕태기 소령이 사망하고 탑승자 21명이 다쳤다. 왕태기 소령은 중령으로 한단계 사후 진급되었다.[3]

산하 부대

계보

기록

  • 1999년 4월 20일, 항공작전사령부 / 영어: Aviation Operations Command
  • 2021년 12월 1일, 육군항공사령부 / 영어: Army Aviation Command

기종

역대 사령관

자세한 정보 구분, 계급 ...
구분 계급 성명 취임 이임 비고
1대중장김판규1999년 4월 20일 ?
2대중장김희중 ? ?
3대중장 ? ? ?
4대중장 ? ? ?
5대중장 ? ? ?
6대중장 ? ? ?
7대중장 ? ? ?
8대중장 ? ? ?
9대중장이희원 ?2005년 3월
10대소장최해필2005년 5월2006년 6월 29일
11대소장백병기2006년 6월 30일 ?
12대중장최용주 ?2009년 4월 22일
13대소장이태만2009년 4월 23일2010년 6월 27일
14대소장배명헌2010년 6월 28일 ?
15대소장이덕춘2011년 11월 23일2013년 4월 28일
16대중장김학주2013년 4월 29일 ?
17대중장이순진 ?2014년 10월 22일
18대중장김영식2014년 10월 23일2015년 11월 ??일
19대소장장광현 ?2016년 10월 28일
20대중장장경석2016년 10월 28일2017년 9월 26일 前 특수전사령관
21대소장허건영2017년 9월 26일2019년 5월 ??일 준장 시절 항공작전사령부 참모장 역임.
22대중장이정기2019년 5월2019년 11월 21일前 제7기동군단장 前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23대소장강선영2019년 11월 21일2021년 11월제60항공단장, 제11항공단장, 항공작전사령부 참모장
최초의 여군 소장
24대소장이보형2021년 12월2023년 9월 1일
25대준장조재식2023년 11월2024년 4월
26대소장양윤석2024년 4월
닫기

참고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