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윤대성 (작가)

대한민국의 작가 (1939–2025)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윤대성(尹大星, 1939년 2월 7일~2025년 1월 27일)은 대한민국의 극작가 겸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이며 서울예술대학교 명예교수이다.

간략 정보 윤대성尹大星, 작가 정보 ...

주요 작품

함경북도 회령에서 출생하여 지난날 한때 황해도 해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훗날 경성부에서 성장한 그는 1958년 극작가 첫 입문 후 196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희곡부분에서 《출발》로 당선되면서 본격 등단하였다.[1]

학력

경력

  • 1973 ~ 1980 MBC TV 전속작가
  • 1979 경찰청 명예경위
  • 1980 ~ 2004 서울예술대학교 교수
  • 2004 ~ 2007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극작과 객원교수
  • 2007 ~ 현재 서울예술대학교 교수
  • 2011 ~ 현재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2012 경찰청 명예경감
  • 1980년 서울예술전문대학 전임 강사 취임

집필 작품

텔레비전 드라마

자세한 정보 연도, 제목 ...

영화

연극

이하 내용은 출판사 월인에서 발간한 자전 소설 《고백》의 저자 약력을 소개한 내용이다.[11]
  • 2012년 9월 극단 산울림 공연 《동행》 (산울림 소극장)
  • 2011년 9월 극단 산울림 공연 《아름다운 꿈 깨어나서》 (산울림 소극장)
  • 2010년 극단 산울림 공연 《한번만 더 사랑 할 수 있다면》 (산울림 소극장)
  • 2007년 극단 산울림 공연 《꿈꿔서 미안해》 (산울림 소극장)
  • 2005년 극단 신화 공연 《세 여인》 (아르코 예술극장 대극장)
  • 2004년 극단 신화 공연 《사스가족》 (대학로 인켈 아트홀)
  • 2002년 극단 미학 공연 《까페 부르문》 (학전 불르)
  • 2001년 극단 예맥 공연 《타스마니아를 꿈꾸며》 (연강홀)
  • 2001년 극단 미학 공연 《당신 안녕》 (문예회관 소극장)
  • 1996년 배우협회 공연 《제국의 광대들》 (문예회관 대극장)
  • 1994년 극단 민중 공연 《이혼의 조건》 (문예회관 대극장)
  • 1993년 극단 미추 공연 《남사당의 하늘》 (국립극장 대극장)
  • 1992년 극단 현대극장 공연 《두여자 두남자》 (현대예술극장)
  • 1990년 극단 수업 공연 《목소리》 (국립극장 소극장)
  • 1988년 극단 실험극장 공연 《사의 찬미》 (문예회관 대극장)
  • 1985년~1989년 동랑 청소년 극단 《방황하는 별들》 《꿈꾸는 별들》 《불타는 별들》
  • 1984년 실험극장 공연 《파벽》 (문예회관 대극장)
  • 1982년 실험극장 공연 《신화 1900》 (문예회관 대극장)
  • 1974년 극단 드라마센타 공연 《출세기》 (드라마센타)
  • 1974년 극단 실험극장 《너도 먹고 물러나라》 (실험 소극장)
  • 1973년 극단 산하 《노비문서》 (명동 국립극장)
  • 1969년 실험극장 공연 《망나니》 (명동 국립극장)

뮤지컬

  • 1987년 《한강은 흐른다》[12]

도서

  • 《고백》 (월인, 2018)
  • 《한 번만 더 사랑할 수 있다면》 (연극과인간, 2014)
  • 《출세기》 (지식을만드는지식, 2014)
  • 《노비 문서》 (지식을만드는지식, 2014)
  • 《방황하는 별들》 (지식을만드는지식, 2014)
  • 《윤대성 희곡전집》 전 4권 (평민사, 2004)
  • 《당신 안녕》 (평민사, 2002)
  • 《극작의 실제》 (예니, 1999)
  • 《극작의 실제》 (공간미디어, 1995)
  • 《남사당의 하늘》 (정우사, 1994)
  • 《윤대성 희곡집》 (청하, 1990)
  • 《신화 1900》 (1983)[13]
Remove ads

수상 경력

  • 196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희곡부분 당선 - 《출발》
  • 1970년 동아연극상 신인희곡상 - 《망나니》[14]
  • 1974년 현대문학상 신인문학상 희곡부문 - 《노비문서》, 《너도 먹고 물러나라》[15]
  • 1970년 제6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 연극부문 신인상(희곡)
  • 1974년 제10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 연극부문 희곡상 - 《노비 문서》
  • 1980년 제7회 한국방송대상 극본상 - 《한국인》
  • 1982년 대한민국연극제 희곡상 - 《신화 1900》[16]
  • 1990년 제1회 춘사영화상 각본상 - 《그들도 우리처럼
  • 2001년 제23회 동랑 유치진 연극상[17]
  • 대통령 표창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