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요한 빌헬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요한 빌헬름
Remove ads

율리히클레베베르크의 요한 빌헬름(독일어: Johann Wilhelm, Herzog zu Kleve, Jülich und Berg, 1562년 5월 28일~1609년 3월 25일)은 16세기 말에 활동한 신성로마제국의 귀족으로, 최후의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이었다.[1]

간략 정보 요한 빌헬름, 재위 ...
Remove ads

생애

요약
관점
Thumb
위: 왼쪽 율리히, 중앙 클레베, 오른쪽 베르크, 아래: 왼쪽 라 마르크, 오른쪽 라벤스베르크
Thumb
야코베아 폰 바덴
Thumb
안토니아 드 로렌

아버지는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빌헬름(1516년~1592년), 어머니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1세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안나의 딸인 마리아 폰 오스트리아였다. 어린시절 크산텐에서 귀족 교육을 받은 요한 빌헬름은 뮌스터 주교후직을 상속받을 예정이었다. 그러나 형인 카를 프리드리히가 갑작스레 사망하자, 빌헬름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 세속 봉토인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을 물려받는 위치가 되었다. 당시 율리히클레베베르크 연합 공국신성 로마 제국 내의 제국직할령 국가의 연합이었다. 여기에 알테나의 백작위도 겸하게 되었다.

요한 빌헬름은 1585년 바덴 변경백 필리베르트의 딸인 바덴의 야코베아와 처음 결혼하였으나 1597년에 사망하였다. 이후 로렌 공작 샤를 3세의 딸인 안토니아 드 로렌(1610년 사망)과 재혼하였다. 학계 일각에서는 요한 빌헬름이 1585년 이전에 아나 옵덴 흐라프귀천상혼을 하여 아들 헤르만 오프 덴 그래프를 두었다는 설을 제기하지만,[2][3] 아나와 요한 빌헬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실질적인 증거는 아직 발견된 적이 없다.

말년에 요한 빌헬름은 심각한 정신 질환을 앓았으며, 의사 프란체스코 마리아 구아초에게 치료를 받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또 요한 빌헬름의 궁정 시종, 문객 가운데에는 작곡가 콘라트 하기우스가 있었다.[5] 요한 빌헬름은 1609년 3월 25일 후계자 없이 사망했다.[6]

사후 분쟁

1609년 요한 빌헬름이 사망하자, 율리히클레베베르크의 상속권은 두 명의 누나에게 돌아갔고 그 후계자들이 상속을 주장하게 되었다. 큰 누나인 마리아 엘레오노라 폰 클레베(1550년~1608년)는 알브레히트 프리드리히 폰 프로이센 공작과 결혼했으며, 그 후계자는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한 지기스문트와 결혼한 아나 폰 프로이센이었다. 둘째 누나는 아나 폰 클레베(1552년~1632년)로, 팔츠노이부르크 백작 필리프 루트비히와 결혼했으며, 아들 볼프강 빌헬름이 후계자로 지목되었다.

문제는 아나 폰 프로이센은 개신교도였고, 볼프강 빌헬름은 1613년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했다는 사실이었다. 종교 개혁의 국면에서 개신교와 가톨릭교도 간의 분쟁은 격화되어 1618년 30년 전쟁으로 이어졌고, 율리히클레베베르크를 놓고 벌어진 상속 분쟁도 율리히 계승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전쟁이 끝나고 브란덴부르크클레베마르크를, 팔츠노이부르크율리히베르크를 확보하였다. 전쟁 당시 양측의 군대가 이들 영토를 수차례 점령하고 파괴하기를 반복하면서, 빌헬름 공작 시절에 명성을 떨쳤던 부유한 도시의 면모를 많이 잃어버리고 말았다.

Remove ads

족보

 
 
 
 
 
 
 
 
 
 
 
 
 
 
 
 
 
 
16. 요한 1세 폰 마르크 (1419-1481)
 
 
 
 
 
 
 
8. 클레베 공작 요한 2세 (1458-1521)
 
 
 
 
 
 
 
 
 
 
 
17. 엘리자베트 드 느베르 (1439-1483)
 
 
 
 
 
 
 
4. 클레베 공작 요한 3세 (1490-1538/9)
 
 
 
 
 
 
 
 
 
 
 
 
 
 
18. 헤세마르부르크 방백 하인리히 3세 (1440-1483)
 
 
 
 
 
 
 
9. 마틸다 폰 헤센 (1473-1524)
 
 
 
 
 
 
 
 
 
 
 
19. 아나 폰 카첸엘른보겐 (1443-1494)
 
 
 
 
 
 
 
2.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빌헬름 (1516-1592)
 
 
 
 
 
 
 
 
 
 
 
 
 
 
 
 
 
20. 율리히베르크 공작 게르하르트 7세 (c.1416-1475)
 
 
 
 
 
 
 
10. 율리히베르크 공작 빌헬름 4세 (1455-1511)
 
 
 
 
 
 
 
 
 
 
 
21. 조피 폰 작센라우엔부르크 (?-1473)
 
 
 
 
 
 
 
5. 마리아 폰 율리히베르크 (1491-1543)
 
 
 
 
 
 
 
 
 
 
 
 
 
 
22.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알브레히트 3세 아킬레스 (1414-1486)
 
 
 
 
 
 
 
11. 지빌레 폰 브란덴부르크 (1467-1524)
 
 
 
 
 
 
 
 
 
 
 
23. 아나 폰 작센 (1437-1512)
 
 
 
 
 
 
 
1.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요한 빌헬름
 
 
 
 
 
 
 
 
 
 
 
 
 
 
 
 
 
 
 
 
24. 막시밀리안 1세 (1459-1519)
 
 
 
 
 
 
 
12. 펠리페 1세 데 카스티야 (1478-1506)
 
 
 
 
 
 
 
 
 
 
 
25. 마리 드 부르고뉴 여공작 (1457-1482)
 
 
 
 
 
 
 
6. 페르디난트 1세 (1503-1564)
 
 
 
 
 
 
 
 
 
 
 
 
 
 
26. 페란도 2세 (1452-1516)
 
 
 
 
 
 
 
13. 후아나 데 카스티야 (1479-1555)
 
 
 
 
 
 
 
 
 
 
 
27. 이사벨 1세 데 카스티야 (1451-1504)
 
 
 
 
 
 
 
3. 마리아 폰 오스트리아 (1531-1581)
 
 
 
 
 
 
 
 
 
 
 
 
 
 
 
 
 
28. 카지미에시 4세 (1427-1492)
 
 
 
 
 
 
 
14.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블라디슬라프 2세 (1456-1516)
 
 
 
 
 
 
 
 
 
 
 
29. 엘리자베트 폰 오스트리아
 
 
 
 
 
 
 
7.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안나 (1503-1547)
 
 
 
 
 
 
 
 
 
 
 
 
 
 
30. 캉달 백작 가스통 드 푸아 (1448-1500)
 
 
 
 
 
 
 
15. 안나 드 푸아캉달 (1484-1506)
 
 
 
 
 
 
 
 
 
 
 
31. 캉달 백작부인 푸아의 카트린 (1455?-1494년?)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