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응우옌푹코앗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응우옌 푹 코앗(베트남어: Nguyễn Phúc Khoát / 阮福濶 완복활, 1714년 9월 26일(음력 8월 18일) ~ 1765년 7월 7일(음력 5월 20일))은 대월 후 레 왕조 응우옌 주의 제8대 군주(재위: 1738년 ~ 1765년)이다. 다른 이름으로 응우옌 푹 히에우(베트남어: Nguyễn Phúc Hiểu / 阮福曉 완복효)라고도 한다. 군주의 약칭은 무왕(Vũ Vương/武王)이다.
Remove ads
생애
빈흐우 4년 6월 8일(1738년 7월 23일) 부군 응우옌 푹 쭈가 서거하니 군주의 자리에 올랐다. 호는 자제도인(베트남어: Từ Tế Đạo Nhân / 慈濟道人)이다.
까인흥 원년(1739년), 그의 후궁이였던 우궁빈(右宮嬪) 쯔엉 티 중(베트남어: Trương Thị Dung / 張氏容 장씨용)을 부인으로 추봉하였으며, 이후 왕비로 추존하였다.
까인흥 5년(1744년), 군주는 후 레 왕조의 황제가 받은 봉호를 취소하고, 자체적으로 칭왕을 하여 신분을 격상시켰다. 이후, 역대 응우옌 주 군주와 정실을 왕과 왕비로 격상시켜 재추존하였다. 그리고 당시 제후국의 관직명, 군대 등을 재편하여 독립적인 호칭 및 관제로 개편하였다.
까인흥 8년(1747년), 캄보디아 왕국에 내란이 발생하자, 이듬해 국왕 응우옌 푹 코앗은 캄보디아의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캄보디아의 왕자 안동(អង្គទង/Ang Tong/安東)을 지원하여 내란 진압을 도와주었으며, 이후에 왕위를 잇게 하였다.
까인흥 14년(1753년), 응우옌 꾸 찐(베트남어: Nguyễn Cư Trinh / 阮居貞 완거정)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캄보디아 사이에 있는 참파를 정벌하게 하였다.
까인흥 18년(1757년), 다시 내란이 일어난 캄보디아에서 이번에는 왕자 안돈(អង្គតន់/Ang Ton)을 우테이 2세(ឧទ័យទី២/Outay II)로 왕위를 계승하게 하였으며, 캄보디아 왕이 이에 대한 보답으로 삭장(朔莊, 지금의 속짱), 다영(茶榮, 지금의 짜빈), 공포(貢布, 지금의 캄보디아 캄포트 주), 방손(磅遜, 지금의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등을 할양시켜 주었다. 지금의 남부 베트남 영토의 국경과 비슷한 경계를 완성 시켰다.
참파를 속령으로 만들고, 캄보디아의 동쪽 영토를 할양받은 응우옌 푹 코앗은 이후에는 전쟁을 일으키지 않았으며, 죽을 때까지 주색과 향락에 빠져 살게 되었다. 국왕의 주색과 향락으로 인하여, 세금으로 인한 농민들에 불만이 고조되면서 농민반란의 계기를 제공하였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게 서산당의 난(西山黨之亂)이다.
까인흥 26년 5월 20일(1765년 7월 7일), 국왕 응우옌 푹 코앗이 서거하니, 향년 52세(만 50세)이다.
Remove ads
봉호, 시호, 능호
후 레 왕조에서 받은 초기 봉호는 전수영장영(前水營掌營) 겸 효정후(Hiểu Chính hầu/曉正侯)이며, 즉위 후 받은 봉호는 절제수보제영(節制水步諸營) 겸 총내외평장군국중사(總內外平章軍國重事) 겸 태보(太保) 겸 효군공(Hiểu Quận Công/曉郡公)으로 진봉하였고, 까인흥(景興) 원년(1740년)에 태부(太傅) 겸 효국공(Hiểu Quốc Công/曉國公)으로 진봉하였다. 까인흥 5년(1744년)에 정식으로 칭왕을 하면서 봉호를 폐지하고 완왕(阮王)으로 칭하였다.
시호는 사후에 건강위단신의성유인자예지효무왕(Kiền Cương Uy Đoán thần Nghị Thánh Du Nhân Từ Duệ Trí Hiếu Vũ Vương/乾剛威斷神毅聖猷仁慈睿智孝武王)으로 추존하였고, 응우옌 왕조가 건국 하고 칭제 후인 자롱(嘉隆) 5년(1806년)에 묘호를 세종(Thế Tông/世宗)으로, 시호를 건강위단신의성유인자예지효무황제(Kiền Cương Uy Đoán thần Nghị Thánh Du Nhân Từ Duệ Trí Hiếu Vũ Hoàng Đế/乾剛威斷神毅聖猷仁慈睿智孝武皇帝)로 재추존 하였다.
능호는 장태릉(Trường Thái Lăng/長泰陵)이다.
Remove ads
가족 관계
후비
왕자
왕녀
Remove ads
기년
- 대남실록(大南實錄)의 기준으로 정리함.
기년
세종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서기 | 1739년 | 1740년 | 1741년 | 1742년 | 1743년 | 1744년 | 1745년 | 1746년 | 1747년 | 1748년 |
육십간지 | 기미(己未) | 경신(庚申) | 신유(辛酉) | 임술(壬戌) | 계해(癸亥) | 갑자(甲子) | 을축(乙丑) | 병인(丙寅) | 정묘(丁卯) | 무진(戊辰) |
후 레 왕조 연호 | 빈흐우 (永祐) 5년 | 6년 까인흥 (景興)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세종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서기 | 1749년 | 1750년 | 1751년 | 1752년 | 1753년 | 1754년 | 1755년 | 1756년 | 1757년 | 1758년 |
육십간지 | 기사(己巳) | 경오(庚午) | 신미(辛未) | 임신(壬申) | 계유(癸酉) | 갑술(甲戌) | 을해(乙亥) | 병자(丙子) | 정축(丁丑) | 무인(戊寅) |
후 레 왕조 연호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세종 | 21년 | 22년 | 23년 | 24년 | 25년 | 26년 | 27년 | |||
서기 | 1759년 | 1760년 | 1761년 | 1762년 | 1763년 | 1764년 | 1765년 | |||
육십간지 | 기묘(己卯) | 경진(庚辰) | 신사(辛巳) | 임오(壬午) | 계미(癸未) | 갑신(甲申) | 을유(乙酉) | |||
후 레 왕조 연호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24년 | 25년 | 26년 |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