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이대수 (조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이대수(李大秀, 1542년 10월 16일 ~ 1613년 2월 18일[1])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이윤번(李允蕃)의 증손이자 이현영(李顯英)의 아버지이다.

간략 정보 이대수李大秀, 출생 ...

생애

1580년(선조 13) 39세에 음서로 선발되어 전연사별좌(典涓司別坐)로 보임되었으며, 이후 장원서별좌(掌苑署別坐), 사옹원직장(司甕院直長), 예빈시직장(禮賓寺直長), 감찰(監察), 사평(司評)을 거쳤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났는데, 성천(成川)에서 세자[2]를 따라 행재소(行在所)에 가서 익위(翊衛)로 임명되었다.[1]

1596년(선조 29) 안성군수(安城郡守)로 재직 중 비변사의 청으로 체직되었는데, 군무를 감당하지 못한다는 이유였다.[3]

이후 곡산군수(谷山郡守)로 나가 임기를 채웠으며, 다시 고부군수(古阜郡守)로 4년 동안 있다가 면직되어 집으로 돌아왔다.

1611년(광해군 3) 삭녕군수(朔寧郡守)로 나갔으며, 1613년(광해군 5) 재직 중 졸했다.

사후 아들 이현영(李顯英)이 귀해지자 좌찬성(左贊成)으로 추증되었다.[1]

Remove ads

가족 관계

  • 증조 - 이윤번(李允蕃) : 대사간(大司諫)
    • 조부 - 이귀지(李貴枝)[1] : 풍저창직장(豊儲倉直長), 증(贈) 좌승지(左承旨)
      • 아버지 - 이희백(李希伯, 1513년 ~ ?)[1] : 사재감정(司宰監正), 증 이조참판(吏曹參判)
      • 어머니 - 사간(司諫), 증 영의정(領議政), 문강공(文康公) 박소(朴紹, 1493년 ~ 1534년)의 장녀[4]
        • 형 - 이대추(李大秋)[4] : 현감(縣監)
        • 형 - 이대화(李大禾)[4] : 군수(郡守)
        • 동생 - 이대형(李大馨)[4]
        • 동생 - 이대년(李大年)[4]
        • 부인 - 홍질(洪礩)의 딸[1]
          • 아들 - 이현영(李顯英, 1573년 ~ 1642년) : 이조판서(吏曹判書), 충정공(忠貞公)
          • 첫째 사위 - 임황(任鍠)[1]
          • 둘째 사위 - 이약(李爚)[1]
          • 셋째 사위 - 성익(成杙)[1]
          • 넷째 사위 - 김영찬(金永纘)[1]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