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이들리브주 무장해제는 2018년 9월부터 터키와 시리아 사이에 15km에서 20km 사이의 비무장지역을 시리아 반군이 통치하는 이들리브 주에 설치하자는 진행 중인 합의이다. 이 지역은 러시아 및 터키 군대가 순찰할 예정이다. 9월 17일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과 터키 대통령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은 이들리브 주에 완충 지대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다. 레반트 자유인민위원회와 튀르키스탄 이슬람당 시리아 지부는 합의를 거절했었고, 이로 인해 합의가 지연되고 했었다.[7][8][9][10][11] 그러나 레반트 자유인민위원회는 완전히 합의를 포기하지 않았다.[12]
간략 정보 2018년 이들리브주 무장해제, 날짜 ...
2018년 이들리브주 무장해제 |
---|
시리아 내전, 러시아군의 시리아 내전 개입의 일부 |
 2018년 터키군이 이들리브주에 설치한 감시 초소 |
날짜 | 2018년 9월 17일- 2019년 5월 6일 |
---|
장소 | |
---|
결과 |
시리아군의 공세로 파기
|
---|
|
교전국 |
---|
시리아
러시아
이란
헤즈볼라
ANG
SSNP
바트 여단
예루살렘 여단
인민수호부대[1] |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SNF
튀르키예[2][3][4]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TFSA
영광의 군대[5][6]
알카에다 연계단체
[[파일:|22x20px|border |alt=]] HTS
TIPS
캅카스의 전사들
안사르 알딘 전선
레반트의 병사들
캅카스 에미레이트 |
지휘관 |
---|
수헤일 알하산
나임 야셈 쉴레이만
쇼아에브 쉴레이만
마헤르 알아사드
와지흐 마흐무드
피라스 자자
자밀 하산
하와시 모하메드
이삼 할라크
안드레이 유딘
드미트리 웃킨
모하메드 알리 자파리
가셈 솔레이마니
하산 나스랄라
아부 아에드
알리 하이다르
힐랄 힐랄
무함마드 알사이드 |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모하메드 사프완 알살레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무스타프 바크르
[[파일:|22x20px|border |alt=]] 아부 모하메드 알줄라니
[[파일:|22x20px|border |alt=]] 아부 마리아 알카타니
이브라힘 만수르
압둘 하킴 시샤니
안사르 알딘 전선
무슬림 아부 알시샤니
아부 압둘라 알샤미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