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이스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이스란(1972년 ~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으로, 2025년 6월 26일부터 보건복지부 제1차관을 맡고 있다.[9][2][1][1][6][2] 건강정책과 연금정책을 포괄하는 보직을 두루 거쳤으며, 2024년 사회복지정책실장을 역임한 뒤 제1차관으로 승진했다.[1][10][1]

간략 정보 이스란이스란, 출생 ...
간략 정보 이스란 ...
Remove ads

초기 생애와 교육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의정부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1] 이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보건학 석사를 수료하고 카네기 멜런 대학교 Heinz College에서 보건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1]

주요 활동

국민연금 개혁

보건복지부 연금정책 라인과 사회복지정책실을 거치며 국민연금 제도 개편 과정의 실무 조정에 관여했다.[1] 2025년 3월 20일 국회 본회의에서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43% 등을 담은 「국민연금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되었다.[11][12] 이후 정부와 국회는 기금재정에 미칠 영향을 추가로 설명했다.[13]

사회복지·돌봄 및 현장 점검

추석 연휴를 앞두고 피해장애아동쉼터 등 취약계층 지원시설을 방문하여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현장 의견을 청취하였다.[14]

디지털 전환·업무연속성(BCP)

사회보장·보건의료 정보시스템의 안정적 운영과 업무연속성 확보를 강조하고,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정부 전산망 장애 시점에 대응 회의를 주재하였다.[15][16]

인구·가족 및 청년 정책

제14회 인구의 날 행사에서 민관 협력을 통한 저출생 대응과 세대 포용을 강조하는 기념사를 했다.[17]

AI 기반 복지·돌봄

민관·학계와 함께 인공지능(AI)을 복지·돌봄 전달체계에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간담회 및 포럼을 주재했다.[18][19]

국제 협력

ASEAN+3 사회복지장관회의 등 다자 협력 회의에 대한민국 대표단 일원으로 참석하였다.[9]

Remove ads

정책 방향

공식 발언에서 현장 의견의 정책 반영, 디지털 포용, 개인정보 보호를 함께 고려하는 기술 활용 원칙을 강조한다.[18] 인구·가족 정책에서는 청년·가족·어르신 모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공공·민간 협력을 중시한다.[17] 전산 장애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업무연속성 계획(BCP)과 대체 경로 가동을 통해 대국민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5]

평가

장관비서관, 건강정책국장, 연금정책관(관), 사회복지정책실장을 거치며 조정력과 실행력을 갖춘 실무형 관료로 평가된다.[1] 인사 발표 당시 국내외 매체는 연금 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보건·복지 전반의 경륜을 주목했다.[2][6][20]

비판과 논란

일부 시민단체는 연금개혁 관련 입장을 이유로 인사 철회를 요구하였다.[21]

경력

  • 1996년: 제40회 행정고시 합격, 공직 입문.[7]
  • 2007년 8월: 보건복지부 장관비서관 임명(서기관).[3]
  • 2000~2010년대: 보건복지부 국민연금재정과장·보험급여과장·요양보험제도과장·의료자원정책과장 등 과장 보직.[4]
  • 2010~2020년대: 세계보건기구(WHO) 파견 경력, 보건복지부 혁신행정담당관·건강정책국장·연금정책관(관) 등 국·관 보직.[4][1]
  • 2023년 6월 ~ 2025년 6월: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정책실장(고공단 가급).[5]
  • 2025년 6월 26일 ~ 현재: 보건복지부 제1차관.[6][20]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