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이장호의 외인구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이장호의 외인구단"은 1986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이현세의 만화 《공포의 외인구단》을 원작으로 했으며 당초 태흥영화사에서 만들려던 것을[1] 이장호 감독이 인수하여 개인제작했다. 한편, 만화에서 자유자재로 그려낼 수 있었던 극적장면에 효과를 추가하기 위해 이장호 감독이 영화 촬영 중 두 차례 일본에 드나들면서 특수영상효과에 대한 협의를 했으며[2] 원작 때문인지 특이한 스타일을 고집한 터라[3] 만화적 이미지의 인식과정에서 더러 무리를 동반하고 있었다는 혹평이 있었으며 엄지 역을 맡았던 이보희가 캐스팅 미스로[4]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Remove ads
속편
1988년 2편이 만들어졌는데 2편에서는 조감독 출신 조민희 감독이 영화 연출 데뷔를 했고[5] 《깜동》에 이어 판영화사와 서울필름이 두 번째로 공동제작했는데[6] 최재성 (오혜성 역) 나한일 (최관 역) 권순철(최경도 역) 외의 배우들이 대부분 교체됐거나 새롭게 합류했으며 서울관객 4만에 그쳐 흥행 실패했는데 해당 영화(1편)에서 손병호 감독 역을 맡았던 안성기는 2편에서 오혜성(최재성 분)의 부상과 손병호 감독의 죽음으로 실의에 빠져 외인구단이 해체된 뒤[7] 하국상(이환지 분)이 이적한 팀의 코치로 특별출연했고 2편의 시나리오가 원작에서는 이미 끝난 이야기를 새롭게 부활시키는[8] 작업이었던 터라 진통이 많았다.
캐스팅
제작진
사운드 트랙
- Side A
 
- Side B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