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이쿠라노미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이쿠라노미야(伊倉宮, 생몰년 미상)는 일본 남북조 시대 남조의 왕족이다.

겐토쿠 2년/오안 4년(1371년) 8월 6일 남조 정서부의 기쿠치 다케미쓰와 함께 다와라 우지요시가 지키고 있던 분고 국(豐後國) 오이타 군(大分郡)의 다카자키 성(高崎城)을 공격하였으며, 이듬해(1372년) 정월 2일까지 백여 차례에 걸쳐서 합전을 벌였으나 승리를 거두지 못하였다. 결국 정월 3일 다카사키 군진을 퇴산하고 다자이후로 물러나야 하였다.

히고 국(肥後國) 다마나 군(玉名郡) 이쿠라 장(伊倉莊)을 거점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쿠라노미야'라 불렸다고 여겨진다.

개요

요약
관점

북조의 규슈 단다이 이마가와 료슌이 오안 8년(1375년) 2월에 다와라 우지요시(田原氏能)에게 발급해 준 '다와라 시모쓰케노곤노카미 우지요시 군충장'(田原下野權守氏能軍忠狀, 이하 군충장)은 규슈에서 남조측을 지지하던 기쿠치 씨와의 전쟁에서 다와라 우지요시가 세운 공적을 치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田原下野權守氏能申所々軍忠事。

一、去應安四年六月廿六日、致治部少輔殿【今川義範】御共、自備後國尾路津【尾道。御調郡】令乘船。同七月二日夜、最前取上豐後國高崎城【大分郡】之處、菊池武光之若黨平賀新左衞門尉構要害於氏能分領國東鄕【國崎郡】之間、同廿三日夜、差遣手物等、追落彼城、平賀彦次郞以下凶徒三人討捕之條、禮部【今川義範】御見知之上者、不可有御不審者哉。同八月六日、伊倉宮幷菊池武光以下凶徒等寄來當城之間、踏一方役所(中尾)、迄于翌年正月二日、百餘度合戰。每度親類若黨以下數輩被疵、勵日夜軍忠、至于今。殘置親類手物等於當城、抽隨分至功之次第、大將御見知之上者、不能巨細言上者也。
(후략)
    應安八年二月  日


         「承了(花押)【今川貞世(了俊)】
(해석) 다와라 우지요시의 군충장

一、지난 오안 4년 6월 26일, 지부쇼유(治部少輔) 님[1]을 수행하여 빈고노구니 오노미치 포구에서 배에 오른 것이 같은 해 7월 2일이었다. 가장 먼저 분고노구니 다카사키 성에 올랐는데, 기쿠치 다케미쓰 휘하의 젊은 무사 히라가 사에몬노죠가 우지요시의 영지인 구니사키 향에서 요새를 구축하고 방어하고 있었다. 같은 달 23일, 부하들을 파견해 그 성을 함락하게 하고 히라가 히코지로 이하 적 3명을 토벌한 것은 예부(요시노리)가 확인하셨으니, 이에 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같은 해 8월 6일, 이쿠라노미야 및 기쿠치 다케미쓰 이하 적들이 이 성을 향해 접근해 왔을 때, 한쪽의 야쿠쇼의 가운데 뒤쪽에 서서 다음해 정월 2일까지 100여 차례 전투를 벌여 매번 (나의) 친척과 젊은 부하 무사들이 상처를 입었지만 밤낮을 가리지 않고 싸워 충성을 다할 것을 격려하기를 지금에 이르렀다. 친척들과 부하들을 이 성에 남겨두고 자신의 직분을 따라 뛰어난 공을 이루게 된 차제(次第)는 대장이 눈으로 확인하셨으니, 거하게 자세한 이야기를 올릴 것도 없다.
(후략)
    오안(應安) 8년 2월  일


         「承了 (화압) 【이마가와 사다요(료슌)】
Thumb
다카사키 산성이 소재하고 있는 일본 오이타 현 오이타 시 다카사키 산. 산꼭대기 부근에 토루나 봉수대 같은 옛 성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해당 문서에 따르면 겐토쿠(建德) 2년/오안 4년(1371년) 8월 6일에 다와라 우지요시는 료슌의 아들인 사다오미(貞臣)와 함께 분고국(豐後國) 오이타 군(大分郡) 다카사키 성(高崎城)을 지키고 있었고, 이곳을 기쿠치 다케미쓰(菊池武光) ・ 다케마사(武政) 부자와 이들이 받들고 있던 남조의 왕족 이쿠라노미야가 거느린 정서부 군세가 공격하였다. 다와라 우지요시는 이듬해 정월까지 이들의 공세에 맞서 백여 차례에 달하는 합전 끝에 다카자키 성을 사수하는데 성공했고, 결국 정월 3일 기쿠치 다케미쓰의 군세는 다카자키 공격을 단념하고 다자이후로 물러났다. 그리고 북조측의 규슈 단다이 이마가와 료슌은 4년 뒤인 오안 8년 2월에 이 문서를 발급하여 다와라 우지요시의 공적을 치하하였던 것이다.

료슌이 다와라 우지요시에게 발급한 군충장에 등장하는 이쿠라노미야는 가네요시 친왕의 정서부에 속한 기쿠치와 행동을 함께하고 있으며 남조의 왕족 인사로 여겨진다.

Remove ads

이쿠라노미야의 정체에 대하여

요약
관점

이쿠라노미야가 일단 정서부-기쿠치 씨와 행동을 같이한 남조의 왕족 인사였던 것은 분명하지만, 그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일본 학계에서도 여러 설이 존재한다.

일단 난보쿠초 시대의 정서부 연구자인 후지타 아키라(藤田明)[2]나 규슈 지방의 중세사 연구자 가와조에 쇼지(川添昭二)[3], 난보쿠초 시대 기쿠치 씨를 연구한 스기모토 히사오(杉本尚雄)[4]는 모두 자세히는 알 수 없다면서도 가네요시 친왕의 아들이 아니겠느냐고 추정했다. 물론 모두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다만 우에다 히토시(植田均)는 1929년(쇼와 4년)에 펴낸 《순충 기쿠치 사승》(純忠菊池史乘)에서 이쿠라노미야를 미야산미츄죠 무네하루(宮三位中將宗治)[5]의 동생으로 와사다노미야(稙田宮)라는 인물로 비정하였다. 하야타노미야(早田宮)이라고도 불리는 와사다노미야의 아버지는 무네타카 친왕의 차남으로 승려로 출가하여 법명을 진카쿠(眞覺)라 하고 '하야타노미야 승정(僧正)' 또는 '미야효부노쿄'(宮兵部卿)라고도 불렸는데, 분고 와사다 장원의 지토를 맡고 있었기에 그의 아들이 '와사다노미야'라고 불린 것이며, 이쿠라노미야라는 이름도 그가 기쿠치의 이쿠라에 자신의 거성(居城)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6] 미소노오 오스케(御薗生翁甫)[7]와 모리야마 쓰네오(森山恒雄)[8]도 우에다 히토시의 견해를 지지하였다. 일본어 위키백과 '하야타노미야(早田宮) 항목에서도 이쿠라노미야를 하야타노미야와 동일인물로 보고 있다.

한편 나카가와 히토시는 난보쿠초 시대의 구교(公卿)인 산조 긴타다(三条公忠)의 일기 《고구마이키》(後愚昧記) 에이와(永和) 3년 9월 1일조에 나오는, 8월 12일 진제이에서 오우치노스케(오우치 요시히로)와의 전투(시라기바루 전투)에서 기쿠치 씨가 패하고 와사다노미야가 자결하였다는 전문(傳聞) 언급에서 이 자결한 왕자 와사다노미야를 이쿠라노미야로 비정하고, 동시에 그를 미야산미츄죠 무네하루의 동생이라고 추정하였다. 그는 이쿠라노미야가 언급된 사료인 군충장이 1371년에 작성되었고 와사다노미야가 자결한 것은 1377년이므로 서로 연대가 비교적 가깝고, 와사다노미야가 자결하였다는 시라기바루가 이쿠라와 마찬가지로 모두 현재 일본의 다마나 시에 속한다는 점 등을 들어 군충장의 '이쿠라노미야'와 《고구마이키》의 '와사다노미야'는 동일인물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았다.

이에 대해서 한국의 이영은 《고구마이키》에서 언급한 당시 시라기바루 전투에서 자결한 왕자(미야)가 "대장궁(가네요시 친왕)이 아니라 와사다노미야, 즉 돌아가신 미야소죠(宮僧正)의 아들"이라는 대목에서 언급된 '돌아가신 미야소죠' 가 진카쿠라고 할 경우, 와사다노미야는 무네하루로 비정되게 되는데, 무네하루는 1345년에 27세로 사망하였으므로 1377년에 있었던 전투에 등장할 수 없고, 나카가와의 주장에 대해서도 "이쿠라노미야가 만약 다카사키 성 전투에서 전사했다면 이쿠라노미야의 근거지가 다카사키 성 부근이었다고 하는 주장과 비슷한 논리", 즉 그 사람이 전사한 곳이 그 사람의 근거지라고 비정하는 것과 같은 논리이며, 나카가와의 말처럼 미야산미츄죠 무네하루에게 동생이 있었는지 여부도 확인할 수 없다고 지적하며, 와사다노미야와 이쿠라노미야를 동일인물로 보는 견해는 설득력이 부족하다고 하였다. 또한 정서부의 기쿠치 다케미쓰가 이쿠라노미야를 앞세워 분고 다카사키 성에 왔을 당시 북조의 규슈단다이 이마가와 료슌 역시 현지에 부임하기도 전에 아들 요시노리를 먼저 분고에 파견한 상태였는데, 북조의 최고 책임자인 규슈탄다이가 최대한 많은 무사들의 동조를 이끌어낼 수 있는 '권위'로써 자신의 아들을 보낸 이상 남조에서도 그만한, 아니 그 이상의 '권위'를 지닌 자로써 정서부의 최고 수장인 가네요시 친왕(정서장군궁)의 아들(내지 최근친자)를 앞세웠다고 하는 것이 논리적인 대응일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