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이학수 (조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이학수(한국 한자: 李鶴秀, 1780년~1859년)는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관료이며, 본관연안(延安)으로 (字)는 자고(子皐)이고, (號)는 단고(丹皐)이며, 시호(諡號)는 문헌(文獻)이다.

간략 정보 이학수, 임기 ...

1806년(순조 6)에 음서(학행)로써 천거된 그는, 성균관(成均館)의 집의(集議)를 지내다가, 1812년(순조 12)에 정시 문과 시험에 병과 급제 후, 관직이 이조참의(1812~1815), 성균관 대사성(1815~1819), 규장각 검교대교(1819~1820), 승정원 우승지(1820~1822), 홍문관 부제학(1822~1824), 이조참판(1824~1825), 사간원 대사간(1825~1827), 비변사 제조(1827), 경상도 관찰사(1827), 오위 도총부 도총관(1851~1852), 한성부판윤(1852~1853), 형조판서(1853), 예조판서(1853), 평안도 관찰사(1853), 이조판서(1853), 경기도 수원부유수(1853), 공조판서(1853), 병조판서(1853), 돈령부 판돈녕부사(1853~1854), 의금부 판의금부사(1854~1855)에 이르렀다. 1855년(철종 6) 동짓달에, 76세로 관직을 마지막 은퇴하였다.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의 종자부(사촌 자형)이기도 하다.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