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인간선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인간선언(일본어: 人間宣言)은 1946년 1월 1일 쇼와 천황신년 연두 조서에서 자신의 신격(神格)을 부정한 선언이다. 5개조의 서약문을 인용하며 시작되는 이 선언에서 쇼와 천황은 현인신(現人神)으로서의 천황과, 우월한 민족으로서의 일본 국민이라는 가공의 관념이 황실과 국민과의 유대를 형성한다는 것을 부정하였다.

상세

미국의 원자폭탄 투하소련의 만주 침공에 따라 일본이 더 전쟁을 벌이면 안 된다고 판단한 히로히토 천황은 1945년 8월 15일 라디오 담화를 통해 항복 선언인 옥음방송을 발표했다. 1945년 9월 2일 도쿄 만에서 연합군 측과 천황 측이 항복 문서에 서명함으로써 공식적으로 패전한 일본은 이후 연합군 점령 아래 정치를 행하며 과거 군국주의 사회 구조를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1946년 1월 1일 쇼와 천황은 인간선언을 발표했는데, 선언의 초안은 레지널드 블라이스해럴드 굴드 헨더슨(Harold G. Henderson)이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397-405 선언의 내용에는 자신과 국민 간의 유대가 전설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며 인간으로 현현한 천황 자신과 일본이 세계를 지배하리라는 사상이 '가공의' 개념이라는 분명한 명시가 포함되었다. 이는 본래 대일본제국 헌법에도 명시되어 있었던 천황에 대한 신성불가침의 성격을 부정한 것이라고 해석되며, 이후 새로운 일본국 헌법이 공포됨에 따라 천황이 신성성 및 통치 권한을 빼앗긴 것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그동안 천황을 현인신(現人神)으로 여겼던 일본 신토와 이를 숭배했던 일본 국민들에게는 충격적인 선언이었다. 그러나 인간선언에 대한 미국의 반응과 달리 일본에서의 영향을 크게 바라보지 않는 관점 또한 존재한다.[1]:405-410 또한 인간선언이 천황제의 존속을 알리고 쇼와 천황의 전쟁책임을 회피하는 데에 주안점이 있었다는 지적도 있다.[2]

1년 후 미국의 계획 정책에 따라 새로운 일본국 헌법이 새롭게 공포되면서 천황은 공식적으로 단순한 '일본의 상징'으로 격하 규정되었으며, 천황의 국가 통치에 대한 개입도 제한되었다.(내각제입헌군주제.) 쇼와 천황은 새로운 일본국 헌법으로의 전환에 순순히 응했고, 1989년 사망할 때까지 헌법 법규에 따라 천황에게 요구되는 국사를 성실히 이행하는 삶을 살았다.

Remove ads

전문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원문, 한국어 번역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