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인도유럽어족 어휘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이 문서는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이 공유하는 주요 단어와 어근을 소개한다. 인도유럽어족의 각 어파에서 가져온 동계어 목록과 그에 대응하는 인도유럽조어 형태를 나열한다.

참고

요약
관점

아래 표에 어떤 형태를 소개하는가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른다.

  • 동계어를 나타낼 때는 일반적으로 각 어파에서 잘 기록된 언어 중 가장 오래된 언어의 형태를 가져온다. 단, 오래된 시기의 언어가 잘 알려지지 않았거나 현대 언어와 큰 차이가 없는 어파들의 경우에는 현대 언어의 형태를 가져온다. 또, 비교를 위해 현대 영어 동계어도 함께 나타낸다.
  • 명사는 주격 형태를 나타내고, 속격 어간이 주격 어간과 다른 경우 괄호 안에 병기한다. (산스크리트어 따위는 주격 대신 기본 어간을 나타내었다.)
  • 동사는 ‘사전에 등재된 형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인가는 언어마다 다르다.
  • 라틴어 동계어가 없는 경우 오스크어움브리아어 동계어를 대신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히타이트어 대신 또는 히타이트어와 함께 또다른 아나톨리아어파 언어(루위어, 리키아어 등)의 동계어를 제시하기도 했다.
  • 토하라어의 경우, 될 수 있으면 토하라어 A토하라어 B 동계어를 모두 나타낸다.
  • 켈트어파의 경우, 될 수 있으면 고대 아일랜드어웨일스어 동계어를 모두 나타낸다. 웨일스어는 대체로 현대 웨일스어 형태를 사용했지만, 고대 웨일스어 형태가 알려져 있고 현대어에서 사라진 중요한 특징을 지닌 경우에는 그쪽을 사용한다. 고대 아일랜드어 형태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 중세 아일랜드어 형태를 나타낸다. 웨일스어 대신 또는 웨일스어와 함께 갈리아어, 콘월어, 브르타뉴어 동계어를 제시하기도 했다.
  • 발트어파의 경우, 될 수 있으면 현대 리투아니아어고대 프로이센어 동계어를 모두 나타낸다. (리투아니아어는 고대 프로이센어 자료에 나타나지 않는 주요한 정보를 포함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함께 나타낸다.) 어떤 경우 현대 리투아니아어 대신 고대 리투아니아어 형태를 나타내기도 했고, 현대 라트비아어 동계어를 나타내기도 했다.
  • 슬라브어파의 경우, 될 수 있으면 고대 교회 슬라브어 동계어를 나타낸다. 그 대신 현대 슬라브 언어나 다른 교회 슬라브어 방언의 형태를 나타내기도 했다.
  • 영어의 경우, 현대 영어 동계어가 존재한다면 그에 대응하는 고대 영어 형태와 함께 나타낸다. 그렇지 않으면 고대 영어 형태만 나타낸다.
  • 고트어의 경우, 고트어 동계어에 드러나지 않는 중요한 특징이 다른 게르만 언어(고대 노르드어, 고대 고지 독일어, 중세 고지 독일어)에 드러날 경우 대신 또는 함께 나타낸다.
Remove ads

친족 명칭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PIE, 영어 ...
Remove ads

사람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PIE, 영어 ...

대명사와 불변화사

자세한 정보 PIE, 영어 ...
Remove ads

수사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PIE, 영어 ...
Remove ads

신체 부위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PIE, 영어 ...
Remove ads

동물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PIE, 영어 ...
Remove ads

농업

자세한 정보 PIE, 영어 ...
Remove ads

몸의 상태와 기능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PIE, 영어 ...
Remove ads

정신의 상태와 기능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PIE, 영어 ...
Remove ads

자연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PIE, 영어 ...
Remove ads

방향

자세한 정보 PIE, 영어 ...

형용사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PIE, 영어 ...

인공물

자세한 정보 PIE, 영어 ...

자발적 움직임

자세한 정보 PIE, 영어 ...

물체의 움직임

자세한 정보 PIE, 영어 ...

시간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PIE, 영어 ...

내용주

  1. kʿoyr < *swesōr; kʿeʿ < *swesros; kʿor-kʿ < *swesŏres.
  2. 이 단어가 히타이트어에 문증되기는 하나, 루위어 차용어로 여겨진다. 학계는 이 단어가 "딸"이라는 인도유럽어 어근의 아나톨리아어파 반영형일 수 있다고는 인정하지만 히타이트어와 루위어에서의 의미는 다를 수도 있다.[8]
  3. 이 어근은 보다 늦게 문증된 아나톨리아어파 언어에서도 나타난다는 주장이 있다. 이사우리아어 인명 Τουάτρης Touatris; 피시디아어 인명 Δωταρι Dotari.[9]
  4. 다른 해석으로는 "주목나무의 아들"이나 "돼지의 아들" 등이 있다.[10]
  5. 이 단어는 보토리타 청동판의 3번째 판에 문증된다. 파트리치아 데 베르나르도 스템펠은 "-SUNOS"가 "아들"이라는 어근의 켈트어파 동계어라고 해석한다.[11][12]
  6. 이 또한 동계어일 가능성이 있는 켈트어 단어이다.[13]
  7. 중세 영어에서는 bridegome이고, 이후 groom (고어로 "종, 사람")의 영향을 받아 현대 영어 bridegroom이 되었다.
  8. 참고: 트라키아어 goni "여자".[14]
  9. 참고: 프리기아어 knaiko, knaikan "여자".[15]
  10. -në는 원래 접미사였을 가능성이 있다.
  11. 포코르니 사전엔 없다.
  12. hēm- < *ām- (hum- "너희"의 영향으로 h-가 생김) < *asm- < *n̥sm-.
  13. *us-we가 원래 형태이고, 많은 언어에서 1인칭 복수 *n̥s-mé의 영향을 받아 *us-me로 바뀌었다. *us-we가 유지된 경우 어두 u-가 사라진 경우가 아주 많다. 최소한 게르만어파, 아베스타어, 켈트어파가 이러한 경우이다.
  14. OE ēow (대격, 여격)와 ēow-ic̣ (대격, 어말 -c̣는 1인칭 단수 대격 mēc̣ "나를"과, 현대 독일어 mich "나를"에도 나타난다.), 그리고 고대 고지 독일어 iuwih "너희(대격, 여격)" (현대 독일어 euch)의 기원은 고트어 izwis "너희(대격, 여격)"의 izw-와 같은 것으로 보인다. -z-가 탈락한 이유는 알 수 없다. izwis는 어간 izw-에 원래 속격 접미사였던 -is가 붙은 형태로 보인다. 이때 izw-는 궁극적으로 인도유럽조어 *us-we에서 (아베스타어나 켈트어파처럼) 어두 u-가 탈락한 뒤, i-가 첨가된 형태로 보인다. (Ringe, 2006)
  15. 참고: 라틴어 ne-que, 고트어 ni-h, 히타이트어 ni-kku, 리디아어 ni-k "그리고 ~가 아니라".
  16. një "하나"의 어원에 대한 가설은 아직까지 모두 추측일 뿐이다. 여기 제시된 어원은 E. Hamp가 Indo-European Numerals (Jadranka Gvozdanović, ed., 1992), pp. 903-904에서 제시한 두 가지 추측 중 하나이다. 또 하나는 단순히 PIE *eni- (혹은 H₂en-)에서 왔다는 것으로, 이는 인도유럽조어의 직시 불변화사로서 산스크리트어 anyá- "다른", OCS onŭ "저것", 리투아니아어 anàs "저것" 따위에 나타난다. Michiel de Vaan은 Demiraj's Sistemi i numerimit에 대한 평가에서 *H₂en-io-no- > 선알바니아조어 *ëńán > 알바니아조어 *ńâ > një 와 같은 변화 과정을 제안했다. M. Huld(Basic Albanian Etymologies, p. 101)는 një가 PIE *sm-iH₂에서 왔다고 하는데, 이는 *sem "하나"의 여성형으로, 고대 그리스어 mía에 반영되었다. 이 추측은 Don Ringe et al. "IE and Computational Cladistics", p. 75 (Transactions of the Philological Society 100, 2002)에서도 잠정적으로 제안한 바 있다.
  17. 강세의 위치는 불명이다.
  18. 게르만어파의 "넷"은 *pénkʷe "다섯"의 영향을 받아 바뀌었다.
  19. 참고: 트라키아어 ketri- "넷".[21]
  20. 참고: 프리기아어 pinke "다섯".[24]
  21. osmŭ "여덟째" < *H₁ok̂t-mo-에서 나옴.
  22. *septḿ̥ "일곱"의 영향으로 비음화됨.
  23. zǝrǝd "심장"의 영향.
  24. 최근 논문에서 동계어일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39]
  25. *aíƕatundi "검은딸기"에만 나타나는데, 문자 그대로 풀면 "말 이빨"이라는 뜻이다.
  26. 예상되는 형태는 *vōs이지 *bōs가 아니다. 따라서 오스크어 또는 움브리아어 차용어로 보인다.
  27. 속격 bóu, báu는 고어형으로, 이후 báo, bó로 바뀌었다.
  28. 참고: 프리기아어 ἔξις 또는 ἔζις (ezi) "고슴도치".
  29. 인도유럽조어 단계의 공시적 규칙에 의해 VRHy 또는 R̥Hy와 같은 연쇄에서 후두음이 탈락했다.
  30. 참고: 산스크리트어 janitár-, 그리스어 genetḗr, genétōr, 라틴어 genitor "어버이, 아비, 낳는 자".
  31. 대격 stā̆rǝm, 속격 stārō, 복수 주격 staras-ča, stārō, 대격 strǝ̄uš, 속격 strǝ̄m, 여격 stǝrǝbyō.
  32. Tīw "티우" < *deiwos는 게르만 신화에서 전쟁의 신이지만, 본디 제우스와 비슷한 하늘의 신이자 신들의 우두머리였다.
  33. *deiwos > 라틴어 deus; 속격 *deiwī > 라틴어 dīvī. 두 어간으로부터 두 개의 서로 다른 곡용이 완성되었다.
  34. 리그베다의 몇몇 구절에서는 여전히 3음절로 취급된다. Ringe (2006) p. 77.
  35. 인도유럽조어 형태가 어떻게 자손 언어들에서 문증된 형태를 만든 것인지는 불확실하다. 후두음 소실 이후에 원래의 *péH₂wr̥, pH₂unés*pāwr̥, punés로 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 형태가 매우 이상하게 느껴졌기 때문에 두 번째 어간의 u 모음을 첫 번째 어근으로 빌려와 *púwr̥, punés로 바꾸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이 축약된 *pūr, punés이나, 여기서 다시 수평화된 *pūr, purés이 움브리아어, 그리스어, 아르메니아어의 형태를 낳았을 수 있다. 그러나 게르만어파는 이렇게 설명할 수 없다. Ringe (2006)는 고트어 fōn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다고 주장한다. 집단형 péH₂wōr -> pH₂uṓr (참고: 토하라어 B puwar) > puōr > 게르만조어 fuwōr > fwōr > fōr -> fōn (사격 어간의 -n- 을 사용). 여기서 ->는 유추에 의한 변화를 나타내고 >는 규칙적 음운 변화를 나타낸다. funinsfuïr에 대한 그의 설명은 매우 복잡하고 잠정적이다. 게르만어파 형태에 대한 포코르니의 설명은 이와 사뭇 다르다. 그에 따르면 fōn*fwōn에서 왔는데, 이 형태가 도출된 과정은 따로 설명하지 않지만 Ringe의 주장과는 다를 것으로 보인다. 또한 fuïr*puweri에서 왔다고 설명하는데, 이는 주격 *púwr̥이나 어쩌면 어간 *pur-에서 도출할 수 있는 처격 형태이다.
  36. *H₁le(n)gʷʰ-*H₁reudʰ-는 모두 칼란드 유형(Caland-type)의 형용사를 만드는 어근이다. 이러한 어근들은 특정한 접미사가 붙어 영어간(zero-stem) 형용사를 만드는 특징이 있는데, 그러한 접미사로는 -ro--u-, 그리고 합성어의 -i- 등이 있다. 칼란드 유형 형용사의 다른 예로는 *H₂erĝ- "흰" (참고: 그리스어 argós < *argrós "흰", 산스크리트어 ṛjrá- "빛나는", 토하라어 B ārkwi "흰", 그리스어 argi-kéraunos "빛나는 번개로"), *dʰeub- "깊은" (참고: 리투아니아어 dubùs "속이 빈" < *dʰub-u-, 토하라어 B tapre "높은" < *dhub-ro-) 따위가 있다.
  37. rudá는 "분노"를 뜻하는 숙어에 나타난다.[62]
  38. 라틴어 galbus ("노란")과 galbinus ("연두색의")도 같은 어근에서 나왔다는 주장이 있다.[67]
  39. 참고: 프리기아어 glouros "금".[68][69]
  40. 참고: 트라키아어 arzas "흰".[72]
  41. wagon은 네덜란드어 차용어이다.
  42. 갈리아어로 쓰인 콜리니 달력에 문증되는 달의 이름이다.[74][75]
  43. 더글러스 Q. 애덤스는 이 단어들을 "겨울, 겨울의"로 해석하지만, 다른 해석도 존재한다.[76][77]

참조주

참고 문헌

추가 문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