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Remove ads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仁川空港 磁氣浮上鐵道)는 인천공항1터미널역용유역을 잇는 6.1km 길이의 자기부상열차 노선으로, 세계 두 번째로 상용화된 도시형 무인운전 자기부상철도 노선이다.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사업에 따른 시범노선으로 선정되어 건설되었으며, 2016년 2월 3일 개통하였다. 운행 차량은 에코비이다.

간략 정보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기본 정보 ...

사업비는 기술개발비 800억원, 건설비 3150억원이며, 건설비는 정부가 69%, 인천광역시가 6%, 인천국제공항공사가 25%를 부담하고 있으며 철도부지는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제공하였다. 시범 노선이 놓이는 인천국제공항 이외에도 자기부상 열차를 건설하는 지방 도시에 대하여는 60%까지, 서울은 40%까지 정부가 사업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수도권 전철의 요금 제도를 따르지 않으며 인천 도시철도와도 별도로 시행된 사업이므로 인천 도시철도는 물론 수도권 전철도 아니다. 다만, 80km/h급 속도로 영업 운행하며 일정액의 국비 지원이 있으므로 도시철도의 조건은 법령상 충족한다. 노선 안내도 등에 사용되는 노선색은 밝은 노란색이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Remove ads

역사

Remove ads

논란

노선 명칭은 2012년 5월 인천공항 홈페이지를 통한 일반공모 결과, 총 904건이 접수되어 3차에 걸친 내부 심사와 관계기관의 협의를 거쳐 최우수작으로 뽑힌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로 선정되었다.[5]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최우수작 선정 배경에 대하여 인천국제공항에 국내 최초로 운영한 자기부상열차라는 특징을 가감 없이 가장 잘 표현하였다고 설명하였다. 한편, 공모전 최우수작을 낸 사람에게 100만원 상당의 상품권이 수여된 등 예산 낭비 논란이 있다.[6]

차량

역 목록

역명은 인천광역시 고시 제2012-212호로 2012년 8월 16일에 확정되었다.

자세한 정보 역 번호, 역명 ...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