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인터페이스 정의 언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인터페이스 정의 언어(Interface Description Language 또는 Interface Definition Language, IDL)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인터페이스를 묘사하기 위한 명세 언어이다. IDL은 어느 한 언어에 국한되지 않는 언어중립적인 방법으로 인터페이스를 표현함으로써, 같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C++을 사용하여 작성한 컴포넌트와 자바를 사용한 컴포넌트 사이에서 국한되지 않고, 인터페이스를 묘사하는 개념이다.

IDL 은 보통 RPC를 이용한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된다. 이때, RPC "연결"의 양 쪽에 있는 컴퓨터는 다른 운영 체제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IDL은 다른 두 개의 시스템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

Remove ads

IDL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의 언어

  • IDL specification language - 최초의 인터페이스 정의 언어
  • AIDL 안드로이드 인터페이스 정의 언어 - 구글의 안드로이드를 위한 IDL
  • 마이크로소프트 인터페이스 정의 언어
  • 오픈 서비스 인터페이스 정의
  • 플랫폼 독립 컴포넌트 모델링 언어
  • WSDL, 웹 서비스 기술 언어.
  • 유니버설 네트워크 오브젝트 - OpenOffice.org의 컴포넌트 모델
  • SWIG - 단순 래퍼(wrapper)이자 인터페이스 생성기
  • XPIDL - 모질라크로스플랫폼 IDL
  • Etch - 시스코의 Etch 크로스 플랫폼 서비스 기술 언어
  • 프로토콜 버퍼 - 구글의 IDL
  • 슬라이스 - ICE의 규격 언어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