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일리야 수츠케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일리야 수츠케버
Remove ads

일리야 수츠케버(Ilya Sutskever, 1986년 12월 8일 ~ )는 이스라엘·캐나다 국적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기계학습 연구자이다. 제프리 힌턴의 지도로 토론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알렉스 크리제프스키와 함께 AlexNet을 설계해 2012년 ImageNet 대회에서 큰 성과를 거두며 딥러닝 붐을 촉발했다.[1] 드롭아웃(과적합 방지 기법)과 시퀀스-투-시퀀스(sequence-to-sequence) 학습 등 딥러닝 핵심 기법의 확산에도 기여했다.[2][3] 2015년 OpenAI를 공동 창립해 최고과학자(Chief Scientist)를 지냈으며, 2024년에는 다니엘 그로스·다니엘 레비와 함께 Safe Superintelligence Inc.(SSI)를 공동 설립했다.[4][5]

간략 정보 일리야 수츠케버Илья Суцкевер, איליה סוצקבר, 본명 ...

수츠케버는 러시아 니즈니노브고로드(당시 고르키)에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5세에 이스라엘로 이주해 예루살렘에서 성장했고, 16세에 가족과 함께 캐나다로 이주했다.[6][7] 이스라엘 공개대학교에서 수학을 수학(2000–2002)한 뒤 토론토 대학교로 옮겨 2005년 수학 학사, 2007년 컴퓨터과학 석사, 2013년 박사를 취득했다.[8][9][10]

2012년 잠시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앤드루 응과 박사후 연구원으로 연구한 뒤 힌턴 연구실의 스핀오프인 DNNResearch에 합류했고, 2013년 구글이 이 회사를 인수하면서 Google Brain 연구원으로 일했다.[11] 구글에서 오리올 비냐스·꿕러와 함께 시퀀스-투-시퀀스 학습을 제안하고 텐서플로 개발에도 관여했으며, 알파고 논문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12]

2015년 말 OpenAI를 공동 설립해 최고과학자를 맡았고, 2023년 11월 이사회가 샘 올트먼을 해임했다가 일주일 만에 복귀시키는 혼란을 겪으면서 그는 공개적으로 유감을 표하고 이사회에서 물러났다.[13][14] 2023년에는 초지능 정렬(superalignment) 문제를 4년 내 해결하겠다는 ‘슈퍼얼라인먼트’ 프로젝트 공동 리드를 발표했고,[15] 2024년 5월 OpenAI를 떠난 뒤 같은 해 6월 다니엘 그로스·다니엘 레비와 SSI를 공동 설립했다.[16] 2022년에는 “오늘날의 대형 신경망이 약간 의식이 있을 수도 있다”는 발언으로 AI 의식 논쟁을 촉발하기도 했다.[17]

Remove ads

경력과 연구

2012년 AlexNet을 힌턴·크리제프스키와 함께 구현했으며, 당시 연산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GTX 580 GPU를 다수 구매해 학습을 수행했다.[18] Google Brain 재직 당시 시퀀스-투-시퀀스 번역, 텐서플로, 강화학습 기반 게임·로보틱스 등 다양한 연구를 발표했다.[19]

수상과 영예

  • 2015년: MIT 테크놀로지 리뷰 ‘35세 이하 혁신가’[20]
  • 2018년: NVIDIA NTECH 2018, AI Frontiers 2018 기조연설[21]
  • 2022년: 왕립학회 석학회원(FRS) 선출[22]
  • 2023년·2024년: 타임지 ‘TIME100 AI’ 선정[23][24]
  • 2025년: 토론토 대학교 명예박사(D.Sc. honoris causa) 수여[25]

기타

  • 2023년 말 OpenAI 내 리더십·안전성 논쟁과 관련해 이사회에서 물러난 뒤, 2024년 5월 공식적으로 회사를 떠난다고 밝혔다.[26][27]
  • SSI는 2024년 9월 주요 벤처캐피털로부터 10억 달러 투자를 유치했고, 2025년 3월 추가로 20억 달러를 유치해 기업가치가 320억 달러에 이르렀다는 보도가 나왔다.[28][29][30]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