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일본 야구 기구
일본 최고 수준의 프로 야구를 대표하는 야구 리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일반 사단법인 일본 야구 기구(일본어: 一般社団法人日本野球機構, 영어: Nippon Professional Baseball Organization, 통칭 NPB)는 일본 프로 야구(NPB)를 총괄하는 기관으로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소속된 12개 구단과 기타 일부 리그의 팀을 대표한다. 이 기관은 사단법인으로서 문부과학성의 관할하에 둔다. 일반적으로 일본 국내에서 ‘프로 야구’는 이 일본 야구 기구가 총괄하는 것을 가리킨다.
일본 프로페셔널 야구 협약 제8조 제5항에 근거로 일본 프로페셔널 야구 조직의 커미셔너가 동시에 일본 야구 기구의 회장을 맡고 있으며 재단법인 일본 프로 스포츠 협회 가맹 단체이다. 영문 명칭은 이전의 ‘Professional Baseball Organization of Japan’에서 2005년에 변경됐다.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이은 세계 2위의 야구 리그[1]라는 평가도 있다.
Remove ads
연혁
구성

일본 야구 기구 정관에 의해 다음과 같이 설치돼 있다.
사원
회원은 구단이며 ‘회원’을 ‘사원’으로 정의하고 있다.
- 주식회사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주식회사 라쿠텐 야구단
- 주식회사 세이부 라이온스
- 주식회사 요미우리 교진군
- 주식회사 야쿠르트 구단
- 주식회사 지바 롯데 마린스
- 주식회사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주식회사 주니치 드래건스
- 오릭스 야구 클럽 주식회사
- 주식회사 한신 타이거스
- 주식회사 히로시마 도요 카프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주식회사
구단주 회의
- 회원인 구단을 보유하고 있는 사업소를 대표하는 것을 구단주(오너)로 정의하고 있다.
- 구단주 회의가 ‘사원 총회’로서 개최돼 ‘일본 프로페셔널 야구 조직’의 최고 의결 기관으로 정의하고 있다.
역대 회장(커미셔너)
임원으로 ‘이사’와 ‘감사’가 설치되며, ‘이사회’의 최고책임자인 ‘회장’은 ‘일본 프로페셔널 야구 조직’ 의 ‘커미셔너’를 겸임한다. 일본 야구 연맹 시절이었던 1949년에 쇼리키 마쓰타로가 커미셔너에 취임했던 시기도 한 번 있었으나 공직 추방 중이었던 몸이었기에 곧바로 물러났다.
일본 프로페셔널 야구 조직과의 관계
2007년도까지 마찬가지로 센트럴·퍼시픽 양대 리그를 총괄하는 조직으로 일본 프로페셔널 야구 조직이 존재했는데, 기구와 조직은 ‘NPB = Nippon Professional Baseball’라는 영문 명칭을 공유했을 뿐만 아니라 ‘조직’의 커미셔너가 ‘기구’의 회장을 겸했다. 일단 ‘조직’이 규정(경기 규정 및 선수 계약 규정) 면을, ‘기구’가 흥행면을 각각 분담하기로 되어 있었는데 한참 동안 이 양자의 관계는 애매했다. 2008년도부터 ‘조직’은 사단법인인 ‘기구’의 내부 조직이 됐다. 이와 관련해 그때까지는 커미셔너 사무국 센트럴 리그 사무국, 퍼시픽 리그 사무국 등 이렇게 모두 3개였던 커미셔너 사무국으로 통합·일체화됐다. 이러한 일련의 조직 개편은 2004년에 일어난 프로 야구 재편 문제가 불거졌을 때 책임소재가 애매할 뿐더러 사태를 수습할 능력이 없음도 드러나면서 큰 비판을 받았던 것이 계기가 됐다.
Remove ads
주요 업무
- 일본 시리즈 경기 및 올스타전 경기의 주최(협약 제8조 제6항)
- 커미셔너의 경비를 포함한 일본 프로페셔널 야구 조직의 경비 부담(협약 제12조)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등 국제 대회에 있어서의 야구 일본 대표팀의 편성·파견.
- 신인 선수 선택 회의 주최.
특징
슬로건
2004년부터 매 시즌의 슬로건을 제정하고 있다.
Remove ads
NPB 파트너 기업·단체
- 기업·단체 오십음순
Remove ads
통일구 논란
2013년의 시즌 개막 이래 선수들로부터 “공이 자꾸 날아간다”라는 지적이 있었다. 일본 야구 기구는 “공에 변경은 없다”라며 일관된 설명을 되풀이했지만 실제로는 공이 날아가게끔 사양이 변경됐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그 후 통일구가 도입된 뒤에 공의 반발력을 나타내는 ‘반발계수’가 기준치를 밑도는 공이 있었고 그 결과 지금까지 사용됐던 공은 ‘잘 날아가지 않는 공’이었다는 사실이 이후에 밝혀졌다. 통일구는 “모든 구장에서 동일한 볼을 사용한다”, “국제 경기에도 대응한다”라는 이유에서 2011년에 도입했지만 공이 잘 날아가지 않는 바람에 도입 이전 시즌에 비해 홈런 개수도 거의 절반으로 줄어드는 등의 결과가 나타나면서 일명 ‘투고타저’ 현상이 일어났다. 그 때문에 2013년에 공의 사양 변경을 미즈노에 의뢰했다는 것이다. 본래 공의 사양 변경은 공표해야 할 사항이었으나 일본 야구 기구는 이를 공표하지 않았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