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일본의 신좌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일본의 신좌파(일본어: 新左翼 신사요쿠[*])는 1960년대 이후 일본에서 출현한 특유의 급진폭력적 좌익정치 사상 및 운동이다.

일본 공산당일본 사회당 등이 1955년 폭력혁명 노선을 포기하자 그들을 "기성좌파"라고 비판하면서, 더욱 급진적인 노선을 주장하며 직접행동과 실력투쟁을 중시하는 운동을 전개한 세력이 특히 대학생을 중심으로 부상했다. 안보투쟁베트남 전쟁 반전운동에 크게 영향을 미쳤지만, 1970년 제2차 안보투쟁 이후 급속히 대중의 지지를 잃고 영향력이 급감했다.

일본에서 "신좌파"는 일종의 총칭적 호칭으로, 서로 사상과 입장이 다른 당파들을 단순히 정당 위주의 기성좌파들보다 과격하다는 의미에서 당대 일본 언론이 포괄적으로 일컬은 것이다. 트로츠키주의의 영향력이 상당히 강했기에 '마르크스-레닌주의 정파'라고 자칭하던 공산동계 일부 정파마저 그 이념이 트로츠키주의와 혼재된 상태로 존재했었다. 이렇듯이 대부분의 분파는 기본적으로 반스탈린주의(Anti-Stalinism)에 기반하고 있었기에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이라고 하기 어려운 면이 존재하며, 이오시프 스탈린의 인식론 이론과 러시아 혁명 이전에 존재한 마르크스주의 분파의 이론을 구분하지 못 할 정도로 사상적으로 상당히 빈약한 상태였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내분과 기회주의·모험주의·종파주의 현상이 잦았으며, 결국 결집력 약화를 불러왔다. 일본 경찰백서에서는 이들을 극좌폭력집단이라고 칭하며, 일본 공산당에서는 가짜 좌파 폭력집단이라고 한다.

Remove ads

정파 계보도

자세한 정보 계보도, 이념 ...
Remove ads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