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일본 총무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총무성(일본어: 総務省 소무쇼[*],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약칭 : MIC)은 일본의 행정조직으로, 대한민국의 행정안전부 격이다.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설치 근거
- 총무성설치법 제2조
소관 업무
- 행정의 기본적인 제도의 관리 및 운영을 통한 행정의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실시의 확보
- 지방자치 본지의 실현 및 민주정치 기반의 확립
- 자치적인 지역사회의 형성
- 국가와 지방공공단체 및 지방공공단체 상호간의 연락 협조
- 정보의 전자적 방식에 의한 적정하고 원활한 유통의 확보 및 증진
- 전파의 공평하고 효율적인 이용의 확보 및 증진
- 우정 사업의 적정하고 확실한 실시의 확보
- 공해에 관한 분쟁의 신속하고 적정한 해결
- 광업·채석업 또는 자갈 채취업과 일반 공익 또는 각종 산업과의 조정
- 치안·소방을 통한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의 보호
- 다른 행정기관의 소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행정사무 및 법률에서 총무성에 속하게 된 행정사무
연혁
- 1873년(메이지 6년) 11월 10일 : 내무성을 설치.
- 1885년(메이지 18년) 12월 22일 : 체신성을 설치.
- 1943년(쇼와 18년) 11월 1일 : 체신성과 철도성을 통합하여, 운수통신성을 설치.
- 1945년(쇼와 20년) 5월 19일 : 운수통신성을 폐지하고, 체신성과 체신원을 설치.
- 1946년(쇼와 21년) 10월 28일 : 행정조사부를 설치.
- 1946년(쇼와 21년) 7월 1일 : 체신원을 폐지하고, 체신성을 설치.
- 1947년(쇼와 22년) 12월 31일 : 내무성을 폐지.
- 1948년(쇼와 23년) 1월 7일 : 지방재정위원회를 설치.
- 1948년(쇼와 23년) 7월 1일 : 행정조사부를 폐지하고, 행정관리청을 설치.
- 1949년(쇼와 24년) 6월 1일 : 체신성을 폐지하고, 우정성과 전기통신성을 설치. 지방재정위원회를 폐지하고, 지방자치청을 설치.
- 1952년(쇼와 27년) 8월 1일 : 지방자치청을 폐지하고, 자치청을 설치.
- 1960년(쇼와 35년) 7월 1일 : 자치청을 자치성으로 승격.
- 1984년(쇼와 59년) 7월 1일 : 행정관리청을 폐지하고, 총무청을 설치.
- 2001년(헤이세이 13년) 1월 16일 : 중앙성청개편을 통해 우정성, 자치성, 총무청을 통합하여 총무성을 설치.
Remove ads
조직
간부
- 대신 1인
- 부대신 2인
- 대신정무관 3인
- 사무차관 1인
- 심의관 3인
- 비서관 1인
내부부국
대신관방
|
행정관리국
|
행정평가국
|
자치행정국
|
공무부
|
선거부
|
자치재정국
|
자치세무국
|
정보통신국제전략국
|
정보유통행정국
|
우정행정부
|
종합통신기반국
|
전기통신사업부
|
전파부
|
통계국
|
통계조사부
|
정책총괄관
|
심의회등
|
시설등기관
|
특별기관
|
지방지분부국
관구행정평가국
|
종합통신국
|
외국
- 공해등조정위원회
- 소방청
직원
일반직 재직자 수는 2011년 1월 15일 기준으로 5,367명이다.[2] 본성 및 외국별 인원 수는 총무성이 5,175명, 공해등조정위원회 35명, 소방청 157명이다.
행정기관직원정원령에 정해진 총무성의 정원은 별정직 1명을 포함해 5280명이다.[3] 본성과 각 외국 다른 정원은 성령의 총무성정원규칙에 정해져 있으며, 저희 5079명, 소방청 166명, 총 5245명이다[4]
총무성의 일반직 직원은 비현업의 국가공무원이므로, 노동기본권 중 쟁의권과 단체협약체결권한은 국가공무원법에 의해 인정되지 않는다. 단결권은 인정하고, 직원은 노동조합으로써 국공법(국가공무원법)이 규정하는 "직원단체"를 결성, 혹은 결성하지 아니하거나 이에 가입, 또는 가입하지 아니할 수 있다(국가공무원법 제108조의2 제3항).
2011년 3월 31일 기준으로 인사원에 등록된 직원단체의 수는 단일체가 4개, 지부 30개로 총 34개 단체이다.[5] 조합원 수는 1,683명으로 조직률은 39.7%이다. 현존하는 주요 노동조합은 총무성 인사·연금국 직원조합, 전행관 직원조합(전행관), 전자치직원조합, 전정보통신노동조합(전통신) 및 통계직원노동조합(통계직조)이다. 인사·연금국과 조사국이 이전 총리부의 계보를 이어 인사·연금국직원조합과 통계직원조합은 내각부 이전총리 관계조합과 함께 연합체인 총리노련을 형성하고 있다. 총리부노련, 전행관 및 전통신은 국공노련 (전국노동조합총연합 계열)에 가입하고 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 총무대신
- 총무부대신
- 총무대신정무관
- 총무사무차관
- 총무심의관
- 대한민국 행정자치부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