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임계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임계선(臨界線, critical line)은 통계물리학장이론에서 상전이가 일어나는 임계점매개변수 공간 상에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하는 일종의 기하학적 구조이다. 이는 단일 임계점과 달리, 무한개의 상전이 지점을 포함하는 연속체로서, 임계현상, 스케일 불변성, 등각 대칭 등의 발생 조건을 보다 풍부하게 제공한다.

틀:장이론

자세한 정보 반응 후, 고체 ...

정의 및 일반 개념

임계선은 일반적으로 온도 , 외부장 , 상호작용 계수 상태 변수의 공간에서, 시스템이 상전이 또는 자발 대칭 붕괴를 겪는 점들의 집합이다. 예컨대, 2차원 이징 모형의 경우 하에서 에서 상전이가 일어나며, 이 는 특정 조건 하의 임계선에 속한다.

Remove ads

수학적 구조

임계선 상의 점들은 일반적으로 다음 특성을 공유한다.

  • 상전이가 발생한다 (대개 연속 상전이)
  • 상관 길이 가 발산한다:
  • 물리량스케일 법칙을 따르며, 임계 지수로 특성화됨
  • 등각장이론 또는 양자장이론으로 기술 가능

예시

2차원 이징 모형

이징 모형에서 외부 자기장 하의 임계 온도 는 임계선의 한 점이다. 만약 이더라도 다른 조건 하에서 상전이가 지속된다면, 이들은 임계선을 형성할 수 있다.

양자장이론에서의 임계선

양자장이론에서는 이론공간(theory space) 상의 베타 함수 의 고정점 이 연속적으로 존재할 경우, 이들은 이론적 임계선을 형성한다. 대표적으로 양-밀스 이론자기이중성 또는 RG 흐름의 다양체가 임계선의 개념으로 해석된다.

응용

관련 개념

  • 임계점 (통계역학)
  • 상전이
  • 스케일 불변성
  • 등각장이론
  • 재규격화 군
  • RG 흐름
  • 임계 지수

참고 문헌

  • Goldenfeld, N. (1992). Lectures on Phase Transitions and the Renormalization Group. Perseus Books.
  • Cardy, J. (1996). Scaling and Renormalization in Statistical 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Itzykson, C. and Drouffe, J.-M. (1989). Statistical Field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