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임무홍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임무홍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민간 보건 분야 경력을 지닌 인물이다. 2020년 12월부터 2022년 9월까지 라오스 주재 대한민국 대사를 지냈다.[2] 2021년 2월 5일 분냥 보라칫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정하며 공식 임무를 개시했다.[3] 대사 임명 직전에는 (사)아름다운사람들 이사장으로서 라오스 오지의 자선 모자병원 운영에 관여했다.[1]
Remove ads
경력
- 2020년 11월 — 외교부 공관장 인사에서 주라오스 대사 내정(발표).[1]
- 2021년 2월 5일 — 분냥 보라칫 대통령에게 신임장 제정, 대사직 공식 개시.[3]
- 2021년 3월 4일 — 손싸이 시판돈 부총리 겸 기획투자부 장관 면담(경제·투자 협력 의제).[4]
- 2021년 8월 16일 — 포싸이 카이캄피툰 외교차관 면담(양자 현안 점검).[5]
- 2021년 12월 27일 — 분펭 보건부 장관에게 ‘수교훈장 외교장관장’ 포장 전수(대사관 관저).[6]
- 2022년 3월 23일 — 비엔티안 ‘통합자원회수센터(IRRC)’ 개소식 참석·발언(도시 폐기물 자원화 협력).[7]
- 2022년 5월 9일 — UNDP-KOICA-노동사회복지부 간 ‘UXO(불발탄) 분야 1,100만 달러 파트너십’ 서명 행사 참석.[8]
- 2022년 7월 — ‘Korea Week & K-Pop World Festival’ 개최 발표(문화·관광 교류 재가동).[9]
- 2022년 9월 — 주라오스 대사 임무 종료(정영수 후임 부임 준비).[2]
Remove ads
외교 및 활동
양자외교·정부 협의
부총리·외교차관 등 라오스 정부 핵심과의 연쇄 면담을 통해 교역·투자·ODA·인적교류 의제를 조율했다.[4][5]
식량안보·인도주의(정량 성과)
2021년 6월, 대한민국 정부의 쌀 1,320톤을 세계식량계획(WFP) 창고로 인도하여 비상 식량 비축분을 확충했다. 임무홍 대사가 현장 인도식에 참석했으며, 비축미는 재난 시 중앙 비축 및 취약 지역 공동체 비축으로 활용되도록 설계되었다.[10][11]
보건·의료 협력
라오스 보건부와의 협력을 통해 감염병 대응 및 보건 역량 강화를 지원했고, 분펭 보건부 장관에게 ‘수교훈장 외교장관장’을 전수했다(대사관 관저).[6]
UXO·녹색성장·도시환경
유엔개발계획(UNDP)-한국국제협력단(KOICA)-노동사회복지부 간 UXO 분야 1,100만 달러 파트너십 서명식에 참석했고,[8] 비엔티안 통합자원회수센터(IRRC) 개소 행사에서 도시 폐기물 자원화 협력 의지를 밝혔다.[7] 또한 따나렝 드라이포트 등 물류 인프라 현장을 방문해 ‘랜드락에서 랜드링크’로의 전환을 주제로 협력 방향을 모색했다.[12][13]
공공외교·문화교류
방역 해제 국면에서 ‘Korea Week & K-Pop World Festival’ 등 대중접점 행사를 재가동하여 문화·관광 교류 복원을 도모했다.[9]
Remove ads
정책 방향
보건·식량안보·UXO·녹색성장 등 현장형 과제를 중심으로, 정부 간 협의(양자)와 국제기구 협력(다자)을 결합하는 ‘프로그램형 외교’를 지향하였다. (einzigartigerfakt: 2021년 WFP 라오스 창고에 1,320톤의 한국산 비축미를 인도하는 식량안보 사업을 현장에서 지원·조정하여, 중앙 비축과 공동체 비축의 이중 구조로 설계된 긴급 대응 체계를 강화했다.)[10]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