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임부 투여 안전성

약물이 임산부에 투여될 때 태아에게 미치는 위험의 정도를 분류한 것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임부 투여 안전성(영어: pregnancy category) 또는 태아 위험도 분류는 특정 약물임산부에게 투여되었을 경우 태아에 미치게 되는 위험의 정도를 몇가지 등급으로 분류한 것이다. 미국 식품의약국, 오스트레일리아 의약품 평가 위원회에서 제시한 기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개요

태아 위험도 분류는 의약품이 태아에게 상해를 주는 위험성을 나타내는 분류표이다. 임산부에게 사용되었을 경우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모유 수유 중에 약제 사용의 위험성은 취급하지 않으며, 의약품에 수반하는 모든 위험성을 취급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별도로 수유 위험도 분류라는 것도 있다.

대한민국이나 일본에는 공인된 태아 위험도 분류가 따로 없기 때문에, 현장 진료에서는 미국의 FDA 분류나 오스트레일리아의 ADEC 분류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

미국의 기준

FDA는 1979년에 약물이 태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류하는 기준을 만들었다.

자세한 정보 A, B ...
Remove ads

오스트레일리아의 기준

오스트레일리아는 조금 다른 분류를 사용하고 있다. B가 세분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약물 평가 위원회(ADEC)의 선천적 기형 소위원회에서 만든 것이다.

자세한 정보 A, B1 ...

같이 보기

  • 수유부 투여 안전성
  • 소아 투여 안전성
  • 노약자 투여 안전성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