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임진왜란 군대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다음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 일본, 명나라의 군대 현황을 정리한 것이다.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09년 5월) |
조선
총병력: 17만 2400명
육군
경기도(1만 9300명)
충청도(1만 1600명)
- 충청도 병마절도사 이옥: 2800명
- 평택현 등처의 장수들: 3000명
- 각지의 의병: 5000명
경상좌도(3만 7000명)
경상우도(4만 명)
전라도(1만 명)
- 각처에 나누어 주둔한 조비군: 1만 명
함경도(1만 200명)
강원도(2000명)
- 강원도 순찰사 강신: 2000명
평안도(1만 5300명)
황해도(8800명)
수군
경상좌도(병력와해)
경상우도(병력와해)
전라좌도(5000명)
- 삼도수군통제사 겸 전라좌도수군절도사 이순신†: 5000명
전라우도(1만 명)
- 전라우도수군절도사 이억기†: 1만 명
Remove ads
일본1(임진왜란)
- 육군: 15만 8800명
- 총합계: 16만 8250명
- 총병력(예비병력 포함): 24만 5050명
총 편성은 1군에서 16군까지 있지만 1군에서 9군까지 조선에 투입되었고 투입된 육군 병력 15만 8800명 중 8군 1만 명은 쓰시마섬에, 9군 1만 1500명은 이키섬에 대기하고 있었기 때문에 사실상 조선에 투입된 병력은 1군에서 7군까지였다.
제1군 고니시 유키나가(1만 8700명)
제2군 가토 기요마사(2만 2800명)
제3군 구로다 나가마사(1만 1000명)
제4군 모리 요시나리(1만 5000명)
제5군 후쿠시마 마사노리(2만 2700명)
제6군 고바야카와 다카카게(1만 5700명)
-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제6군 대장): 1만 명
제7군 모리 데루모토(3만 명)
- 모리 데루모토(제7군 대장): 3만 명
제8군 우키타 히데이에(1만 명)
- 우키타 히데이에(제8군 대장): 1만 명
제9군 도요토미 히데가쓰(1만 1500명)
수군(9450명)
Remove ads
일본2(정유재란)
제1군 가토 기요마사(1만 명)
- 가토 기요마사: 1만 명
제2군 고니시 유키나가(1만 4000명)
- 고니시 유키나가: 1만 4000명
제3군 구로다 나가마사(1만 명)
- 구로다 나가마사: 1만 명
제4군 나베시마 나오시게(1만 2000명)
- 나베시마 나오시게: 1만 2000명
제5군 시마즈 요시히로(1만 명)
- 시마즈 요시히로: 1만 명
제6군 조소카베 모토치카(1만 3000명)
- 조소카베 모토치카: 1만 3000명
제7군 하치스카 이에마사(1만 3000명)
- 하치스카 이에마사: 1만 3000명
제8군 모리 데루모토, 우키타 히데이에(4만 명)
총병력: 12만 2000명
명나라
지휘
좌군
- 좌협대장(左協大將) 부총병(副摠兵) 양호(楊鎬)
- 부총병(副摠兵) 왕유익(王有翼)
- 부총병(副摠兵) 왕유정(王維貞)
- 참장(參將) 이여매(李如梅)
- 참장(參將) 이여오(李如梧)
- 참장(參將) 양소선(楊紹先)
- 부총병(副摠兵) 사대수(査大受)
- 부총병(副摠兵) 손수렴(孫守廉)
- 참장(參將) 이녕(李寧)
- 유격장군(遊擊將軍) 갈봉하(葛逢夏)
중군
우군
후발대
- 부총병(副摠兵) 이평호(李平胡)
- 원임장(原任將) 장기공(張奇功)
- 유격장군(遊擊將軍) 송대윤(宋大贇)
- 유격장군(遊擊將軍) 엽방영(葉邦榮)
- 유격장군(遊擊將軍) 조문명(趙文明)
- 유격장군(遊擊將軍) 고철(高徹)
- 유격장군(遊擊將軍) 시조경(施朝卿)
병력
Remove ad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