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잉글랜드 국왕

잉글랜드의 왕과 여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잉글랜드 국왕
Remove ads
Remove ads

{{정보상자 |bodyclass = vcard |style = width:17.5em; |aboveclass = adr |above = 잉글랜드 국왕 |abovestyle = line-height:1.2em; font-size:135%; |subheader = King of England |subheader2 = |subheaderstyle = font-weight: bold;

|image = Thumb |imagestyle = padding-bottom:0.4em; |caption = 왕실 문장
|captionstyle = padding-top:0.2em;border-bottom:solid 1px #ccd2d9; |labelstyle = padding:0 0.5em 0 0; background:transparent; line-height:1.1em; |datastyle = padding:0; line-height:1.2em; vertical-align:middle;

|data1 =

Thumb
마지막 군주:

 1702년 3월 8일 ~ 1707년 5월 1일

|label2 = 호칭 |data2 = 폐하

|label3 = 관저 |data3 =

|label4 = 초대 |data4 = 애설스탠

|label5 = 마지막 |data5 = 앤 여왕 |label6 = 설립 |data6 = 927년 |label7 = 폐지 |data7 = 1707년 5월 1일 |label8 = 전신 |data8 = |label9 = 후신 |data9 =

|label10 = 선출자 |data10 = label11 = 지명자 잉글랜드 국왕(영어: King of England)은 잉글랜드 왕국국가원수다.

왕호

창업군주 애설스탠으로부터 실지왕 존의 대까지 모든 잉글랜드 군주는 "잉글랜드인의 왕(영어: King of the English, 라틴어: Rex Anglorum)"을 왕호로 사용했다. 노르만인의 잉글랜드 정복 이전의 왕들은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왕호들을 병용했다.

  • 애설스탠: 전(全) 브리튼의 왕(라틴어: Rex totius Britanniae)
  • 에드먼드 1세 장려왕: 브리튼의 왕(라틴어: Rex Britanniæ), 잉글랜드인과 다른 민족들의 왕이며 지배자이며 감독자(라틴어: Rex Anglorum cæterarumque gentium gobernator et rector)
  • 애드레드: 앵글로색슨인, 노섬브리아인, 이교인, 브리튼인들의 제(諸)정부 제왕국을 다스리는 이(라틴어: Regis qui regimina regnorum Angulsaxna, Norþhymbra, Paganorum, Brettonumque)
  • 애드위그 공평왕: 하느님의 은총으로 세우신 앵글로색슨인과 노섬브리아인의 황제이며 이교인들의 감독자이고 브리튼인의 사령관(라틴어: Rex nutu Dei Angulsæxna et Northanhumbrorum imperator paganorum gubernator Breotonumque propugnator)
  • 에드거 평화왕: 전(全) 알비온과 그 주변 영토의 군주(라틴어: Totius Albionis finitimorumque regum basileus)
  • 크누트 대왕: 잉글랜드인을 비롯 모든 브리튼권(圈)의 왕이며 지배자이며 감독자(라틴어: Rex Anglorum totiusque Brittannice orbis gubernator et rector), 전(全) 브리튼 잉글랜드인의 군주(Brytannie totius Anglorum monarchus)

노르만 왕조 시기에도 "잉글랜드인의 왕(라틴어: Rex Anglorum, 영어: King of the English)"이라는 표현이 계속 사용되었으나 "잉글랜드 국왕(라틴어: Rex Anglie, 영어: King of England)"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신성로마황후 마틸다는 스스로를 "잉글랜드인의 대부인(라틴어: Domina Anglorum, 영어: Lady of the English)"이라고 칭했다.

실지왕 존 이후로는 "잉글랜드 국왕" 이외의 다른 칭호는 기피되어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1603년 잉글랜드 왕위를 상속받은 스코트인의 왕 제임스 6세는 그 이듬해인 1604년 "그레이트브리튼 국왕(영어: King of Great Britain)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양 의회가 모두 이 칭호를 인정하지 않아 법적 근거는 없었다. 1707년 연합법으로 잉글랜드 국왕위와 스코트인의 왕위가 완전히 통폐합된 앤 여왕 대에 가서야 "그레이트브리튼 국왕"이 공식 왕호가 되었다.[1]

목록

자세한 정보 초상, 이름 ...

같이 보기

각주

  1. Croft, p67; Wilson, pp249–252.
  2. Aethelstan @ Archontology.org. Retrieved 15 March 2007.
  3. EADMUND (Edmund) @ Archontology.org. Retrieved 17 March 2007.
  4. EADRED (Edred) @ Archontology.org. Retrieved 17 March 2007.
  5. Æthelred the Unready was forced to go into exile in the summer of 1013, following Danish attacks, but was invited back following Sweyn Forkbeard's death. AETHELRED (the Unready) @ Archontology.org. Retrieved 17 March 2007.
  6. English Monarchs. 2007년 10월 27일에 확인함.
  7. Sweyn (Forkbeard) - Archontology.org. 2007년 10월 27일에 확인함.
  8. CNUT (Canute) @ Archontology.org. Retrieved 21 March 2007.
  9. Harold was only recognised as regent until 1037, when was recognised as king. Harold (Harefoot) - Archontology.org. 2007년 10월 27일에 확인함.
  10. Harthacnut - Archontology.org. 2007년 10월 28일에 확인함.
  11. STEPHEN (of Blois) - Archontology.org. 2007년 10월 25일에 확인함.
  12. Edward V was deposed by Richard III, who usurped the throne on the grounds that Edward was illegitimate. EDWARD V - Archontology.org. 2007년 10월 25일에 확인함.
  13. Oliver Cromwell 1599–1658. 2013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25일에 확인함.
  14. Richard Cromwell, Lord Protector, 1626–1712. 2019년 10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25일에 확인함.
  15. Oliver Cromwell (1649-1658 AD). 2008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11일에 확인함.
  16. Anne (England) - Archontology.org. 2007년 10월 25일에 확인함.
Remove ads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