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급발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급발진(急發進, 영어: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SUA)은 자동차가 운전자의 제어를 벗어나 의지와 관계 없이 가속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급발진은 정지 상태나 저속 상태, 정속 주행 상태에서 모두 일어날 수 있으며, 대개 제동 장치의 작동 불능을 수반한다.[1] 그러나 급발진이라 주장되어온 거의 모든 사고는 운전자의 운전 미숙이었고, 운전 미숙을 제외한 사례에서는 매트의 오류로 엑셀이 눌려 급발진이 일어난 것이 대부분으로 토요타 리콜 사태를 제외하면 비정품 매트의 사용이 원인이며. 제어 장치 오류로 인한 급발진은 극히 일부에 불과해 사실상 실재하지 않는 가상의 현상으로 인식된다.[출처 필요]
주장하는 원인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25년 8월) |
운전자들이 자신의 운전 실력을 과도하게 믿고, 나아가 급발진이라 주장하는 것만으로 사고에 대한 여론 책임을 일정 부분 회피하기 수월하여 규모가 크거나 운전자가 고령인 경우 주로 주장된다. 그러나 강릉 티볼리 에어 사건이나 시청역 사건 등 복수의 법원 판례 및 관련 전문기관의 조사는 이러한 주장이 무색하게 모두 운전자의 과실로 결론내렸다.
일부 전문성이 떨어지는 자칭 전문가들이 급발진이 실재하다고 주장하며 운전에 미숙하여 인사사고를 낸 교통사고 가해자를 옹호하며 대기업인 자동차 제조사를 비난하는데, 그 구도상 "자신도 이러한 사건의 당사자가 될 수 있다"는 공포 심리를 자극하고 나아가 "대기업인 자동차 제조사가 관련 정보를 은폐하거나 정부 기관과 결탁하여 조작하는 것"이라는 음모론을 퍼뜨려 정상적인 사고를 하지 못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페달 오인 사고가 일어나면 "드디어 내가 급발진의 당사자가 됐구나!" 하는 확증 편향이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자칭 급발진 사고가 늘어나게 만든다.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