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가쪽무릎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가쪽무릎핵(lateral geniculate nucleus, LGN) 또는 가쪽무릎체 또는 외측슬상체핵 또는 외측슬상체는 변연계내 시상의 외측 슬상체 속에 모여 있는 신경 세포체의 집단이다. 시상의 후방부에 무릎 모양으로 튀어나온 두 신경핵 중 바깥측에 위치하여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었다. 망막에서 출발한 시신경이 도달하는 장소 중 하나로, 시각 정보를 대뇌 피질에 전달하기 전에 거치는 장소이다.
Remove ads
구성
외측슬상핵은 M-세포층(Magnocellular cells), P-세포층(Parvocellular cells), 그리고 K-세포층(Konioceullar cell)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류 | 크기* | 망막신경절세포 | 중개하는 정보 | 위치 | 반응 | 숫자 |
큰세포성 세포 (Magnocellular cells) | 큼 | 파라솔 세포 | 움직임, 깊이, 밝기에 민감함. | 1, 2층 | 빠름 | ? |
작은세포성 세포 (Parvocellular cells) | 작음 | 난쟁이 세포 | 색과 형태 (세부적인 특징) | 3~6층 | 느림 | ? |
먼지세포성 세포 (Koniocellular cells) | 극히 작음 | 이중층 세포 | 각각의 M층과 P층의 사이 |
*크기는 세포체와 수지상 나무의 크기를 의미하지만 수용 영역의 크기도 마찬가지이다.
가쪽무릎핵의 M세포층, P세포층, K세포층의 이름은 모두 이들에게 신호를 전달해주는 망막 신경절 세포의 이름에 따라 이름붙여졌다.[1]:269 이들 중 K세포층의 경우 기능이 아직 완전히 알려져있지 않다.[2]
Remove ads
PGO
수면시 관촬되는 뇌파중 하나로 PGO파는 REM수면 및 꿈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것으로 알려져있다. 이 때 PGO는 다리뇌(pons), (외측)슬상핵(geniculate) 그리고 후두엽피질(occipital)을 가리킨다.
추가 이미지
- Thalamus
- Dissection of brain-stem. Lateral view.
- Scheme showing central connections of the optic nerves and optic tracts.
- Thalamic nuclei
- 3D schematic representation of optic tracts
- Brainstem. Posterior view.
같이 보기
- 안쪽무릎핵
- 위둔덕 (superior colliculus, 상구)
- 아래둔덕 (inferior colliculus, 하구)
- 올리브체 (Olivary body)
- 위올리브복합체 (superior olivary complex, 상올리브복합체, superior olivary nucleus, 위올리브핵, 상올리브핵)
- 아래올리브핵 (inferior olivary nucleus, 하올리브핵)
- 유두체
- 해마
- 난쟁이 세포 (midget cell, P 세포)
- 양산 세포 (parasol cell, M 세포)
- 작은세포 세포 (소세포성 세포, parvocellular cell, P-세포)
- 큰세포 세포 (대세포성 세포, magnocellular cell, M-세포)
- 먼지세포성 세포(koniocellular cell, K-세포)
- 이중층 세포(bistratified cell)
- 두 흐름 가설
Remove ads
각주
참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