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장가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장가군(牂柯郡)은 전한에서 설치한 중국의 옛 군이다.
유래
장가(牂柯)는 배를 대는 말뚝을 뜻한다고 한다. 《관자》에 이미 장가가 지명으로 쓰이는 것이 확인된다. 상거는 《화양국지》에서 장교(莊蹻)가 차란(且蘭)에서 싸울 때 강가에 배를 대고 싸워 차란을 장가라고 했다고 하나, 임내강(任乃强)은 이를 초주의 억측을 상거가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였을 뿐이라 했다.
전한
요약
관점
당몽이 남월 정복을 위해 서남이에서 남월로 가는 길을 열 것을 청하여 무제의 서남이 원정이 시작됐고 야랑후를 회유하여 건위군을 세우고 장가강까지 진격했으며, 훗날 장가군의 일부가 되는 폐현에 치소를 두었다. 장가군 자체의 설치는 원정 6년(기원전 111년)이다. 남월에서 한나라에 적대하는 반란이 일어나자 한나라에서는 서남이의 군대를 동원해 반란을 막으려 했는데, 차란군(且蘭君)은 출병한 사이 주변국의 침략을 받을 것을 두려워해 반발하고 사자와 건위태수를 죽였다. 남월을 공격하려던 파촉의 여덟 교위는 차란을 멸했고, 옛 차란군의 땅을 바탕으로 건위군의 일부를 합하여 장가군을 설치했다. 2년 후 익주군을 세우면서 장가군의 일부가 익주군이 됐다.[1][2]
익주에 속하였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24,219호, 인구 153,360명이었다. 치소는 고저란현이다.[3]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4]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7현이다.
Remove ads
신
이름을 동정(同亭)으로 고쳤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후한, 촉한
16현 31,523호 267,253명을 거느렸다.[11]촉한은 225년(건흥 3년)에 장가군의 서남부지역을 흥고군으로 분리하면서 구이저우 성 일대로 축소되었다.
Remove ads
서진, 성한
서진에서는 익주에 소속되어있었으며, 8현 1,200호를 거느렸다. 서진 무제집권말기 폐지된 영주가 서진 혜제시기 부활할 때 영주로 소속이 이관된 것으로 보인다.[12]311년(영가 5년)에 영주자사 손분이 본군과 주제군. 건녕군일대에서 야랑군을 신설했고 폐현과 평이현지역에 평만군을 신설했다.[13] 성한이 성립된 후 성한으로 소속이 이관되었으며 환온에 의해 성한이 멸망하면서 동진으로 복귀되었다.
Remove ads
동진, 유송
송나라때 장가군은 6현 1,970호를 거느렸고 1,500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경도까지 수운으로 12,000리였다. .[13]
남제
유송대처럼 6현을 두었다.[14]
수
태수
전한
- 진립(기원전 27년 당시)
서진
- 방환(태강 연간)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