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장액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전한
원수 2년(기원전 121년) 곽거병이 흉노의 혼야왕과 휴저왕을 격파하자 혼야왕이 휴저왕을 죽이고 휴저왕의 무리와 함께 투항하면서[1] 한나라가 혼야왕과 휴저왕의 땅에 설치한 하서 4군 중 하나로, 혼야왕의 옛 땅에 설치했다. 군의 명칭은 응소에 따르면 “나라의 팔과 겨드랑이를 뻗치다”라는 뜻의 장국비액(張國臂掖)에서 따온 것이다. 설치된 시기는 이설이 있으나 한서 지리지의 주석에 따르면 태초 원년(기원전 104년)에 설치됐다.[2] 혹은 원정 6년(기원전 111년)에 주천군과 무위군을 분할해 돈황군과 함께 설치됐다.[3] 2만 4352호, 8만 8731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르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2]
Remove ads
신나라
군의 이름을 설병(設屏)으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태수
전한
후한
서진
- 초승(焦勝, 267년 당시)[5]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