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전국고교축구선수권대회

대한민국의 유소년 축구 대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전국고교축구선수권대회는 1946년 첫 대회를 개최한 국내 최고(最古)의 고교 축구대회이다.

2011년 제66회 대회를 끝으로, 2012년부터는 전국 고교 축구리그 왕중왕전과 겸하여 열린다.

역사

1948년, 1949년에 조선축구협회 주최로 제3회, 제4회 전국중등학교축구선수권대회가 개최되었다.

1950년에는 9월 15일부터 21일까지 제5회 전국대학, 전국중등축구선수권대회가 개최될 예정이었으나,[1] 6.25 전쟁으로 인하여 개최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1952년에 대한체육회 주최 제6회 전국축구선수권 및 제1회 전국고등학교축구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2]

1953년 대회는 대한축구협회 주최 종합축구선수권대회로 개최되었다.

1954년 대회는 제6회 중등, 제3회 고등, 제5회 대학 전국학생축구선수권대회로, 1955년 대회는 제7회 중등, 제4회 고등 전군축구선수권대회로 개최되었다.

1966년 대회는 전국학생종별축구선수권대회라는 명칭으로 개최되었다.

1967년 대회는 부정선수 사태로 준결승, 결승 경기가 진행되지 못했으며, 추후 동래고가 우승한 것으로 간주하였다.[3][4]


1961년 대회부터 1969년 대회까지는 각각 제16회~제24회 전국중학축구선수권대회 및 제10회~제18회 전국고교축구선수권대회로 개최되었다.

1971년에는 산발적으로 실시되던 각급 대회를 통합하여 종합종별축구선수권대회라는 명칭으로 개최되었다.[5]

1972년도에는 제27회 중등부, 제21회 고등부 대회로 불렸으며, 1973년에는 통합하여 제28회 전국중고축구선수권대회로 불렸다. 1979년 제34회부터 1985년 제40회 대회까지는 청룡기쟁탈 대회로 불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 또 다른 청룡기 고교축구대회가 열리기도 하였다.

한일고교 교환경기

이 대회의 우승팀 또는 우승팀과 준우승은 1968년부터 1976년까지 9년간 시행된 한일고교 교환경기의 한국 축구 대표팀으로 출전할 자격을 얻게 되었다. 1966년에는 대한축구협회가 대회 우승팀 대신고를 교환경기 출전팀으로 추천했는데, 전국중고축구연맹이 이에 반발하여 축구협회를 탈퇴하는 사태가 벌어졌다.[6] 1966년 한일고교 교환경기는 결렬되었다.[7] 1968년에는 우승팀 중동고과 준우승팀 동래고가 출전하였다.[8] 1969년에는 일본에서 열린 대회에 우승팀 중동고가 출전하였다.[9] 1970년에는 서울에서 대회가 열렸으며 결승에 진출한 대신고와 중앙고가 출전 자격을 얻었다.[10] 1971년부터 1975년 대회까지는 대통령금배 대회가 한국대표 선발전 역할을 하였다.[11][12][13][14][15][16]

Remove ads

역대 우승

자세한 정보 횟수, 연도 ...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