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전륜구동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전륜구동
Remove ads

전륜구동(前輪驅動, 영어: Front Wheel Drive, FWD) 또는 전륜굴림 혹은 앞바퀴굴림엔진에서 앞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Thumb
전륜구동 차의 모습

주로 엔진을 앞에 배치하여 앞바퀴를 굴리는 방식인 FF(Front engine Front drive)가 이용되어 전륜구동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지만, 매우 드문 사례로 미드십 엔진 전륜구동(MF) 방식 자동차도 있다.

현재 대한민국의 경우, 대형차하고 스포츠카를 제외하면 배기량 3,000cc 이하급의 모든 승용차에 전륜구동 방식이 단골로 적용된다.

엔진은 대부분 가로로 배치하나, 일부 전륜구동 자동차엔진을 세로로 배치하기도 한다[1].

설명

다른 구동 방식에 비해 부품이 적게 들어가는데다, 차량의 무게가 가벼워짐으로써 연비가 우수하여 유지·보수비용 부담이 적다.

구동축이 필요없기 때문에 동력 손실이 적을 뿐만 아니라, 언덕길, 비포장 도로 등 다양한 지형에서 조향이 쉽고 연료 효율이 뛰어나 효용성이 높다.

따라서 국내외에서 생산되는 승용차 중 일부 대형 승용차(체어맨, 제네시스, 포텐샤, 엔터프라이즈, 에쿠스 등)를 제외한 거의 모든 승용차에 단골로 적용되고 있다.

후륜, 4륜구동 방식하고 비교해보면 등판능력(낮은 접촉 저항에서의 운행 능력)의 차이인데, 4륜 > 전륜 > 후륜 순서로 4:10:7 정도로 급한 경사면을 오를 수 있다.

특징

요약
관점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